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게스티메이션
- caseinterview
- 전략컨설팅
- 전략강의
- 인공지능
- 러시아
- 컨설팅강의
- strategy consulting
- Russia
- 리더십
- Strategy
- case interview
- 케이스인터뷰
- consulting
- 경영컨설팅
- 전략프로젝트
- 전략 컨설팅
- consultant
- 컨설턴트교육
- 빅4
- 전략컨설턴트
- ey
- 커리어
- 케이스 스터디
- 케이스 인터뷰
- 컨설턴트
- 전략펌
- 컨설팅
- 컨설팅 인터뷰
- 컨설팅펌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494)
Consultants Blogger
전략 컨설팅 채용에 관련된 한 유튜브 영상을 보다가. 문득. 나의 전공은 MIS 라고 Full name은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이고, 국문으로는 경영정보학 정도로 통용되고 있다. 2007년 RA (인턴) 시절, 이 전공 지식으로 인해 당시 남들에 비해, 아니 컨설턴트들 보다도 더 폭 넓은 지식으로 프로젝트에 일조를 할 수 있었고, 결과적으로 좋은 오퍼를 받을 수 있었다. 그것은 당시 막 떠오르고 있던 각종 비즈니스 시스템들에 대한 이해, 즉 Domain Knowledge 였고, 비즈니스 관점에서 이 기술이나 시스템들을 해석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물론, 학교 공부만으로 이런 지식을 쌓을 수는 없었다. (현재는 꽤 흔해진 현상이지만) 당시에도 각종 커뮤니티에 관련된 글을..
아래는 전 매킨지 컨설턴트가 정리한 경영 컨설팅 업계의 일반적인 커리퍼 패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연차별 각 컨설팅 펌의 직급과 주요 직급의 R&R 이 잘 정리되어 있어 참조해 보았고, 원문은 여기를 참조하시면 됩니다. 물론, 일정 부문 outdated 되었거나, 한국과는 일부 다른 내용도 있으나, 큰 맥락에서는 틀린 말이 없어 정리 차원에서 요약을 하고 제 생각을 덧붙혀 봅니다. 우선 일반적으로 컨설팅 펌의 직급에는 5 가지 레벨이 존재합니다. Level 0: Intern – Most consulting interns support other consultants by collecting data or running analyses. Not every consulting firm offer interns..
보스와 이야기 나누다, 컨설턴트들의 역량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다. 공감되는 이야기인데, 컨설턴트들의 역량은 크게 2 가지로 나눠질 수 있는데 하나는 '지적 능력'이고, 또 다른 하나는 '근성'이다. 보통 둘 다 갖춘 사람들이 컨설팅 바닥에서 오래 살아남는데, 둘 중 하나를 버리고 하나를 취해야 한다고 하면 개인적으로는 '지적 능력'이 아닐까 싶다. 지적 능력이 뛰어난 데 게으르고 요령을 피우는 사람이 있다고 치자. 그래도 어느 정도 일은 할 것이다. 정작 중요할 때, 어르고 달래면 빠짝 긴장해서 열심히 할 수 있다. (그것은 리더십의 영역이다.) 하지만, 지적 능력이 안 되는 사람은 컨설턴트로써 노답이다. 근성으로 열심히 해 봤자 수준 이하의 아웃풋만 내게 되고, 결국 아무런 의미가 없어진다. 물론, 둘..
2023 QS아시아 대학 순위 발표 - KAIST (8위) - 연세대 (12위) - 고려대 (15위) - 서울대 (17위) - 성균관대 (18위) - 한양대 (24위) - 포스텍 (24위) - 경희대 (42위) - 이화여대 (61위) - 중앙대 (64위) - UNIST (76위) - 세종대 (79위) - 서강대 (82위) - 경북대 (91위) - GIST (94위) 톱10에는 중국 대학 5개교, 싱가포르 2개교, 한국/홍콩/말레이시아 각 1개교가 포함되는데, 일본 대학의 쇠락이 눈에 띈다. 중국의 북경대가 올해 처음으로 싱가포르 국립대를 제치고 1위, 그리고 칭화대가 3위를 차지했다. '2023 QS아시아대학순위 KAIST 국내1위.. 연대 고대 서울대 성대 톱5' https://www-veritas--..
1. 한 때, IT 업계에서 개발자들의 몸 값은 천정부지와 같이 치솟았다. 여기에 일조했던 수 많은 IT 업체들은 현재 어려운 시기를 걷고 있다. 개발자 초봉 8천 시대를 연 직방은 여전히 적자이고, 컬리 같은 플랫폼 업체들도 쉽지 않은 시기를 보내고 있다. 고 금리 시대에 투자 시장이 위축되면서, 전문 투자업계도 위축되었지만 일반 기업군들의 투자 역시 주춤하고 있는 현실이다. 그냥 눈 감고 돈 깔아주며 모셔왔었던 개발자들도 현재 옥석 가리기를 지나 ROI가 나오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정리를 하는 추세다. 2. 컨설팅 업계도 비슷한 상황을 겪었다. 지난 수 년 간 컨설팅 업계는 아주 좋았다. 특히, 작년 1년 정도는 엄청난 활황 장이었다. 각 펌에서 컨설턴트들이 모자라 여기 저기서 막 끌어당겼던 시기였다...
인사철이라 여기 저기서 명암이 나오고 있는 시즌이다. 1. 한 대기업에서 30년 이상 재직하다 퇴임하게 된 임원이 있었다. 그 분이 술 자리에서 이런 말을 했다고 한다. '지금 가장 슬픈 것은 퇴직을 하게 된 것이 아니라, 내 젊음을 바쳐 평생을 다니던 곳, 그러니까 일상적으로 들락날락 하던 공간을 이제 누군가의 허락이 없으면 들어갈 수 없다는 것' 그것이 가장 힘들다고 하셨다. 물론, 거대 유통기업이었기에 일반인들이 흔하게 출입하는 건물에 오피스가 있어 더 그런 기분이 들으셨나 보다. 나는 그런 삶을 살아온 적이 없기에, 상상만 해 봤는데 기분이 정말 묘할 것 같긴 하다. 2. 큰 조직에서 한 자리를 꿰차고 있을 때는 그 사람을 만나기도 힘들고, 주변에 만나자고 하는 사람들도 꽤 있을 것이다. 하지만,..
전략을 지속적으로 해 온 사람과 오퍼레이션, 그리고 IT 컨설팅을 지속적으로 해 온 사람은 확실히 역량이 뚜렷히 구분된다. 즉, 잘 하는 부분이 확연히 차이가 난다는 것이다. 오퍼레이션을 오랫동안 해 온 사람이 전략을 할 때는 여러 사람 고생을 시키게 되는 경우가 많다. 전략에서 요구하는 역량은 전략에 대한 명확한 메시지 전달이고, 이를 뒷 받침하는 논리적 스토리라인이다. 의외로, 오퍼레이션 컨설턴트들은 이 부분에 있어 약하다. 마찬가지로, 전략만 경험해 보고, (전략 가이들은 컨설턴트라면 모든 것을 다 할 수 있어야 한다고 믿는 경향이 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다음에 한번 정리하는 걸로..) IT나 오퍼레이션을 경험해 보지 못 한 사람이 실무진들을 대상으로 High-level 의 메세지를 전달하거나,..
전략 가이들은 무엇이든 할 수 있다는 근자감이 있는 경향이 짙다. 전략 가이 출신들이 여러 업종에서 최고경영자 레벨로 포진하여 성과를 내면서, 그리고 스타트업을 창업하여 성과를 내면서 이러한 정설이 어느 정도 사실이라고 자리 잡은 지 오래다. 이 문제의 핵심은 크게 3가지 정도로 본다. 기획, 실행 그리고 문제 해결. 비즈니스 모델을 정교하게 만들고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정확하게 기획하는 것. 물론, 여기에는 피봇팅을 얼마나 민첩하게 대응하느냐도 포함될 것이다. 그리고, 거침없는 실행력. 쓸데 없는 데 시간을 낭비하지 않는다. 기획 결과가 나오면 바로 실행해 본다. 최대한 계획대로 진행되는지 점검하면서 치고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문제 해결. Problem solving 은 전략의 ..
What is consulting? The purpose of a consultant is to help provide recommendations for organizations to improve their performance. Consulting services can range from providing organizational change management assistance to the development of coaching skills, process analysis, technology implementation, strategy development, and operational improvement services. There are two distinct types of co..
제안서와 보고서를 리뷰하다 보면, 많은 주니어 컨설턴트들이 흔히 범하는 과오가 있는데, 바로 리뷰를 하기 전에 슬라이드 작업을 한다는 것. 이는 특히 시니어 컨설턴트나 매니저 레벨에서 많이 발생한다. 컨설팅이든 어떤 업무이든 회사라는 조직 내에서는 보고서를 작성하게 된다. 그 중에 주로 파워포인트로 많이 작성되는 컨설팅의 보고서 형태는 슬라이드(덱이라고도 부른다) 내에서 다양한 원칙들을 내포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제목들 간의 상관관계, 그리고 특정 메시지에 대한 인과 관계, 그를 뒷받침하는 근거. 이에 대해서는 차후에 다시 한번 상세하게 설명을 하도록 하고, 오늘 하고 싶은 이야기는 리뷰에 관한 것이다. 컨설턴트 후배들에게 항상 하는 말이고, 또 이러한 글들을 통해 하고자 하는 것은 리뷰에 기본적인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