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Strategy
- 인공지능
- 전략프로젝트
- 전략 컨설팅
- strategy consulting
- 전략펌
- 컨설팅 인터뷰
- case interview
- 러시아
- 케이스 스터디
- 커리어
- 전략강의
- 경영컨설팅
- 전략컨설턴트
- consultant
- 컨설턴트교육
- 컨설팅강의
- 게스티메이션
- consulting
- 컨설턴트
- 컨설팅펌
- 전략컨설팅
- 컨설팅
- caseinterview
- 빅4
- Russia
- 케이스인터뷰
- 리더십
- ey
- 케이스 인터뷰
- Today
- Total
목록컨설턴트 (53)
Consultants Blogger
전략을 지속적으로 해 온 사람과 오퍼레이션, 그리고 IT 컨설팅을 지속적으로 해 온 사람은 확실히 역량이 뚜렷히 구분된다. 즉, 잘 하는 부분이 확연히 차이가 난다는 것이다. 오퍼레이션을 오랫동안 해 온 사람이 전략을 할 때는 여러 사람 고생을 시키게 되는 경우가 많다. 전략에서 요구하는 역량은 전략에 대한 명확한 메시지 전달이고, 이를 뒷 받침하는 논리적 스토리라인이다. 의외로, 오퍼레이션 컨설턴트들은 이 부분에 있어 약하다. 마찬가지로, 전략만 경험해 보고, (전략 가이들은 컨설턴트라면 모든 것을 다 할 수 있어야 한다고 믿는 경향이 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다음에 한번 정리하는 걸로..) IT나 오퍼레이션을 경험해 보지 못 한 사람이 실무진들을 대상으로 High-level 의 메세지를 전달하거나,..
컨설팅에서 staffing 은 또 하나의 묘미이다. 각 회사마다 Staffing 을 하는 rule이나 RM(Resource management) rules 이 각기 상이할 수 있으나, 기본적인 기준은 utilization ratio 이다. 컨설팅 펌을 포함하여 대다수의 professional service를 영위하는 회사들은 인력 투입에 대한 기본적인 charge rate 가 있고, 각 직급별 해당 인력이 투입되는 시간에 따라 고객사에게 charge 하는 금액 ( = 투입 시간 X 직급별 Charge rate)이 결정된다. 즉, 기본적으로 전문 인력의 인건비(?) 비중이 크다는 의미다. (소위 말하는 인력 장사..) 이는 곧 전문 인력 각각에 대한 평가 기준 중 개별 인력별 투입 시간 (Utilizati..
그냥 생각나는 김에 지난 회고를 하며 몇 가지를 정리해 보려고 한다. (시간 날 때 마다...) 1) 나는 왜 컨설팅을 했는가, 2) 나는 왜 그렇게 이직을 했는가, 3) 내가 생각하는 일잘러는 무엇인가 등등. 먼저 시리즈 1. 내가 컨설팅을 오래했던 이유는 단순하다. 일단, 문제해결이라고 하는 프로젝트 형식의 깔끔한 숙제(?)를 하는 것이 적성에 맞았고, 또한, 대기업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보수(?)적인 문화가 일 하는 방식에 그렇게 많이 적용되지 않았고, 마지막으로 대기업의 시스템을 어느 정도 누리(?)면서, 개인의 역량에 의존적인 시스템이라는 것이었다. 특히, 마지막이 내게는 아주 중요했다. 왜냐면, 언젠가 그 틀을 깨고, 야생으로 나갔을 때 입을 수 있는 데미지가 별로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창업..
인생 2막을 러시아에서 펼치고 있는 천정우(38)씨는 한국에서 잘 나가는 컨설턴트였다. 1년 3개월 전 인생의 중대한 결정을 내리게 된 데에는 ‘헬조선’에서 살아서는 비전을 찾기 힘들다는 판단이 큰 영향을 미쳤다. /사진제공=천정우씨 “3040에게도 ‘헬조선’은 ‘헬조선’이죠. 계약도 하기 전에 수 백장 짜리 제안서를 당당히 요구하면서도 타인의 노력과 땀·실력을 인정하는 데 인색해요. 40살만 되도 언제 잘릴까 전전긍긍하게 만드는 게 바로 한국사회니까요” 한국에서 꽤 잘 나가는 컨설턴트였던 천정우(38)씨는 지난해 돌연 러시아 행 비행기에 몸을 실었다. 떠난 이유를 묻자 그는 대뜸 ‘헬조선’ 이야기를 꺼냈다. 외국계 컨설팅 회사의 서울 지사에서 9년 동안 근무하며 실력을 인정 받고 있던 그의 입에서 나오..
도움이 될렁가 모르겠고 이런 요령을 피는 것을 상당히 싫어하는 편이지만, 경영대나 이쪽에 관심이 있는 친구들은 아래 내용은 숙달을 하고 면접실에 들어갑니다. 그러니 저희도 알아두는 게 좋겠죠? 인터뷰의 일반적 형식 1) Guesstimation - 미지의 데이터를 추산하기 위해 가정을 세우고 수리적으로 도출해가는 과정을 평가하는 형식입니다. ex) 남산에 나무가 몇 그루일까요~ 반포대교 일일 교통량이 얼마나 될까요~ 서울 시내에 디지털 카메라가 몇개나 있을까요~ * 대개 이 형식은 안정적인 프레임워크가 적용되기 어려워서 시원한 답을 내느냐가 운에도 상당 부분 좌우하기 때문에 대개 비중을 크게 두지는 않는 편이고, 아래 2번의 Case interview의 일부로 포함되곤 합니다. 하지만 마케팅쪽 컨설팅 비..
얼마전, 아는 동생분이 홍콩에서 Job offer 를 받아, 이직하게 되었다는소식을 접했다. 그 친구는 평소에도 부단히 노력하며, 묵묵히 커리어를 개발해 나가는 인재로, 해당 글(나의 Story : 홍콩에서 새로운 커리어를 시작하다.)에 '해외진출을 위해 어떤 시도들을 해 보았는가', '그 과정에서 무엇을 배웠는가' 등의 내용 들이 있으며, 많은 이들에게 시행착오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면서, 나도 다른 이들에게 조금이나마 동기부여와 도움을 나누고자 하는 마음으로 글을 남겨보기로 한다. 물론, 사람마다 경험이나 커리어 패스가 다 다를 것이다. 나의 경우 역시, 특별한 것은 없으나, 10년 넘게 컨설팅 업무를 하면서 느꼈던 커리어 개발에 대한 고뇌와 노력, 그것들이 해외진출을 ..
안녕하세요, 1.건설사 플랜트 프로젝트 관리 등 경력 이후 MBA, 이후 전략기획실 또는 빅4 입사 사례는 꽤 있는 걸로 알고 있는데,우선 전략기획실 입사 케이스의 경우나 증권사나 투자은행 IB 부서로 이직한 케이스 역시해외에서 MBA 하신 분들이 계십니다.빅4는 PF 분야 등으로 이직한 케이스가 있습니다. 빅4로의 입사는 국내 MBA 이후에도 종종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만, PF나 Finance 쪽에 특화가 되면 좋겠지요, 국내 MBA 졸업생들을 위한 채용이 별도로 있는 것 같진 않구요.. 해외 MBA 채용은 대기업 전략기획실 등 위주로 있는 것 같네요. 2. 플랜트 프로젝트 경험 중 실제 해당 플젝에 인발브 해서 진행했던 (사업개발 부터) 분들 중에 자산운용 (인프라펀드 등)국내대형은행 IB (해외 ..
안녕하세요, 아래 문의 주신 사항에 대해 간단하게 의견드립니다. 공공부문 컨설팅은 사실 상 그렇게 추천하지는 않으나, 초기 진입 시 진입장벽 측면에서는 현실성이 있다고 보여집니다. 특히 빅4 같은 경우, 일반적인 IT 컨설팅 보다 공공부문 컨설팅의 경우 단점이- 클라이언트 레벨이 그렇게 높지 않고,- Revenue 가 크지 않기에 비용적인 측면에서 압박, - 그러다 보니 부족한 인력으로 인해 근무환경이 열악할 수 있으며- 보고서의 퀄리티/depth 가 떨어질 수 있고- 보고서의 direction 관련해서 객관적 측면 보다는 어떤 정책적 흐름에 편승해서 갈 확률이 높다는 것 상대적인 장점은 - 그나마 function 측면에서는 it가 아닌 경영전략이나 사업성분석, 정책적 결정 등을 다룰 수 있다는 것 입니..
http://cafe.naver.com/ineedamerica/29476 온오프 믹스를 통한 참여 링크 (카드결제 희망자에 한하여) : http://onoffmix.com/event/48124 기타 문의 : jeffery.chun@envisioner.co.kr 브로셔 :
10년전까지만해도 bcg매트릭스 등 특정 methodology가 전략펌의 차별화 요소였다면, 현재는 어떤것이 차별화 포인트가 될수있을까요? methodology가 거의 공유되어서 특별한 방법론보다는 특정 산업분야에 강점을 가지고 있는게 차별점이 될수있을까요? 하지만 보통 대형 펌들은 몇개 산업에 치중하기보다는 여러 분야 가리지않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는것같은데,현업 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출처] 전략펌의 차별화요소? (MBA MS GMAT 커리어 컨설팅) |작성자 bang prepschoolpunk2015/06/01 15:52답글신고|삭제|활동 정지1. 산업군은 펌이 아니라 한국의 경우 파트너에 달린 것이 더 크다고 생각해요. 파트너가 어떤 Account를 가지고 있고 CRM을 얼마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