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러시아
- Strategy
- caseinterview
- 전략 컨설팅
- 전략컨설턴트
- 컨설팅펌
- case interview
- strategy consulting
- 컨설턴트교육
- 빅4
- 게스티메이션
- ey
- 리더십
- consultant
- 인공지능
- 케이스 인터뷰
- 컨설팅 인터뷰
- 케이스 스터디
- 컨설팅
- 컨설턴트
- 경영컨설팅
- Russia
- 전략강의
- consulting
- 컨설팅강의
- 커리어
- 전략프로젝트
- 전략컨설팅
- 케이스인터뷰
- 전략펌
- Today
- Total
목록전략 컨설팅 (13)
Consultants Blogger
1. 또 하나의 프로젝트가 종료되었다. 마지막 미팅에서 고객사 임원 분이 이런 말씀을 하시면서 CEO 보고와 그 위의 보고에 도움을 요청 주셨다. 그 분의 경험에서 우러나오는 전략 컨설팅의 가치로 전사에 퍼져 있는 다양한 의견들을 종합적으로 취합하는 것이 첫 번째요, 두 번째는 가장 설득력 있는 리포팅이 가능하다는 것이었다. VIP 보고를 목전에 두고 우리가 만들어 놓은 보고서를 이리 저리 순서를 변경해 보았다지만, 결국 다시 원점으로 돌아왔다는 말씀도 덧 붙이셨고, 짧은 기간 내 얼마나 고민을 많이 했는지 알게 되었다는 좋은 말씀도 주셨다. 2. 의외로 많은 대기업의 전략, 기획, 조정 부문에서 각 사업 단위 조직들을 컨트롤 하지 못 하는 곳이 꽤 있다. 여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부서라면 더더욱 그럴 ..
다들 너무나 잘 아는 사실 중 하나는, 경영 컨설팅이라는 것은 경영 전반에 대한 자문 서비스를 행하는 사업의 형태로, 비약적으로 이야기 하자면, 결국 사람 장사 하는 업이다. 일반적으로 장치산업으로 불리우는 제조업이나 중공업 등과 같이 대규모 초기투자 비용이 드는 것도 아니요, 최첨단의 R&D 기술이 필요한 것도 아니다. 이런 경영 컨설팅이라는 업에 있어, 인력이 곧 총 자산이요, 전부라는 의미이다.(물론, 한 펌이 가지고 있는 지적자산도 자산)따라서 인력, 컨설턴트를 채용하는 것은 굉장히 중요한 일이고, 신중해야 하는 일이다. 그런데, 많은 대형 펌들의 경우이런 인적 자산에 대한 Quality management가 안되는 것을 많이 봐왔다. 정말이지 한심하기 짝이 없는 노릇이지만, 실제 현재도 많은 펌..
최근, 직간접적으로 다양한 부문에서 sales 활동을 전개해 나가면서 느끼는 점입니다. 제가 쥬니어때만 해도, 논리적 전개, 화려한 장표 등으로 무장해서 가면, 어느 정도 먹혔던 시절이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은 Client 들(특히 owner )도 하도 많이 보고 듣고 하다 보니,논리적 전개나 화려한 장표 만으로는이제 통하지 않는 시대인 것 같습니다. 솔직히, 컨설팅을 좀 해 보신 분들이시라면 아실텐데요, 그 어떤 논리라고 해도fact 나 rationale 기반으로 논리만들어 내는 것은 크게 어려운 일은 아닙니다.왠만한 사태에 대해서는 근거를 기반으로한 논리를 전부 다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뭐, 안 해보신 분들이시라면 동조하지 않으실 수도 있지만, 이와 관련해서는 또 다른 긴 이야기들이 있습니다. 다..
안녕하세요,좀 시간이 된 케이스 같습니다만, 재미있는 Case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제가 보기엔 전형적인 성장전략 프로젝트 유형으로,케이스 인터뷰 시에 가장 많이 등장하게 되는 유형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수업시간에도 늘 말씀드리는 것이지만,가장 먼저 하셔야 하는 것은 framing (혹은 clarification) 입니다.framing 중에서도 scoping 을 먼저 하시는 것이 좋을 듯 하네요. 먼저, key question을 뭐라고 정의해야 할까요?고객사에게 우리가 delivery 해야 하는 것, 또는 고객사가 듣고 싶어하는 말은 무엇일까요? =====================================================================================..
최근의 프로젝트들의 동향에 대해서 주목해야 할 만한 이슈가 있어서말씀드립니다. 국내에서 대기업이나 중견기업이나 신성장동력에 대한 발굴 추진은 항상 있어왔습니다.이 중에서 두 가지가 큰 트렌드로 구분될 수 있을 듯 한데요,최근 몇년 간 있어왔던 Globalization 은 제가 더 이상 언급하지 않아도 이미 많이들 알고 계신 이슈인 듯 하구요. 또 하나의 트렌드가 기존의 B2C를 영위하던 회사들이 성장의 일환으로B2B 영역으로 확장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있습니다. 성장전략 중 신사업진출의 영역인데요, Globalization 과 마찬가지로, 국내시장 포화 및 성장정체의 이슈에 따른또 다른 성장전략의 일환으로 나온 것인데영역이 신규라는 점에서 globalization 과는 또 다른 관점을 가지는 듯 합니다. ..
1. Consulting Ranking (General) 2014 Rank2013 RankChangeCompanyScoreLocation12▲McKinsey & Company9.285New York, NY21▼Bain & Company9.115Boston, MA33—The Boston Consulting Group, Inc.8.894Boston, MA44—Booz & Company7.931New York, NY58▲PwC (PricewaterhouseCoopers) LLP (Consulting Practice)7.620New York, NY66—Oliver Wyman7.595New York, NY75▼Deloitte Consulting LLP7.483New York, NY8NR—The Parthenon ..
AT 커니 회사에 대한 간략한 소개입니다. 많은 분들이 이야기 하고는 합니다.우리나라에서 전략과 오퍼레이션 컨설팅을 둘다제대로 하는 펌은 딱 두 곳 밖에 없다.Accenture 와바로 이 A.T. Kearney 입니다. AT 커니는 Accenture 와 마찬가지로전략과 오퍼레이션 프랙티스가 구분되어 있다고 합니다. 한때 pwc가 여기저기 인수되고 할 당시, pwc의 역량있는 컨설턴트들을 대거 흡수하여오퍼레이션 역량이 강화되었고이때 SCM은 AT커니가 최고다 라는 평을 들었더랬죠. 전략부터 오퍼레이션, IT 컨설팅까지 커버하는 AT커니의 규모는 2~300 명 수준으로 되어있으며, 컨설팅 펌 치고는 상당히 큰 규모를 자랑하고 있었습니다.(얼마 전 까지 규모로 최대가 아니냐고 했지만 현재 기준으로 규모면에서는..
삼정 KPMG는 국내 Big4 회계법인에 속해 있는 컨설팅 조직으로Business Consulting Service 부문입니다. 이 부문 내SCG(Strategy Consulting Group) 그룹이바로 전략을 다루는 조직입니다. SCG 에서는주로Corporate 전략 및 실행전략 수립 - 비전 및 중장기 전략 수립 - 신규사업 전략 수립Globalization 전략 수립 (Go to market 포함) - 마케팅 전략 수립 Post Merger Integration Turnaround 전략 수립 운영 전략 수립 (구매, 물류, 조직운영체계 등) 등을 수행하신다고 보면 될 것 같네요. KPMG는..최근 내부적인 이슈로 인해 컨설팅 쪽이 시장에서 많이 깨졌었죠.안정화 되려면 시간이 좀 걸릴 것 같습니다만..
ADL은 현존하는 전략 펌 중에 가장 오래된 경영 컨설팅 펌입니다.(1886년도에 MIT 교수에 의해 설립.) 전 세계 40여개 이상의 국별 사무소와 연구소가 있으며, 3천명 이상의 전문인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서울 사무소는 1994년 10월에 설립 되었으며, 현재는 50여명 정도의 전문 인력이 컨설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1) 서비스ADL의 조직은 10개 Industry Practice와 6개의 Function Practice로 구성되어 있으며, 산업과 기능별 전문화된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현재는 또 어떻게 변경되었는지는 모르겠군요) 실제 많은 인원이 있는 것이 아닌, 소수의 최정예 인력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직급이 높지 않는 이상 인더스트리나 펑션 구분없이 일할 수 밖에 없습니다.예를..
앞 글에서Special generalist 가 어떻게 길러지느냐.많은 컨설팅 펌에서T 자 형 인재를 추구하게 되어있습니다.초기에는 Pooling 제로 운영되며 이 프로젝트 저 프로젝트 투입되게 됩니다.2~3년 간은 아마 여러 가지 유형, 여러 가지 펑션, 여러 가지 인더스트리에서 과업을 수행하며generalist로서의 면모를 갖춰갑니다. 이후 4~5년 이상의 경력 후, industry나 function 으로 특화되어 specialty를 가져갑니다.그렇게 되면 그 사람은 specialty를 가진 진정한 컨설턴트가 됩니다. 초기 몇년 간 여러가지 경험을 하면서 problem solving 역량을 기르며그 중 본인이 판단하기에 가장 적합한 분야를 고른다..이후 특정 분야만 집중적으로 파서, 결국 spec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