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컨설팅 인터뷰
- case interview
- consultant
- 인공지능
- ey
- 게스티메이션
- 케이스인터뷰
- 커리어
- consulting
- 컨설팅
- 컨설팅강의
- strategy consulting
- 케이스 스터디
- 컨설팅펌
- Strategy
- 전략컨설턴트
- 케이스 인터뷰
- 전략강의
- 컨설턴트
- 전략컨설팅
- 전략프로젝트
- 리더십
- Russia
- 전략펌
- 경영컨설팅
- 컨설턴트교육
- 러시아
- 전략 컨설팅
- caseinterview
- 빅4
- Today
- Total
목록Useful Knowledge for Life/Entrepreneur & Office worker (21)
Consultants Blogger
마치 그 옛날의 컨설팅 펌 처럼 주 7일 새벽까지 근무하는데, 컨설팅 펌과 다른 점은 엔비디아는 퇴직률이 2%에 그친다는 것. 1.급여 수준 자체가 높은 편이어서 퇴직을 결심하기 쉽지 않았다고 한다. '고강도 근무 환경에도 회사의 주가 상승과 높은 급여로 이직률은 매우 낮음'2.스톡 그랜트로 인해 장기 근속을 유도한다. 4년을 빌미로 잡아 핵심인력을 포함한 주요 인력들을 리텐션. 다음 주식 부여를 기다리며 근속을 할 수 밖에 없게끔 만들었다.(참고로 엔비디아의 주가는 2019년 이후 3776% 상승)3.젠슨 황이 '직원을 해고하는 것보다 그들을 몰아붙여 유능한 직원으로 만드는 것을 선호한다'는데 이것도 1번과 2번, 그리고 비전이 없다면 불가능한 일이다.결국, 고강도 업무로 유지되는 회사들(또는 모든 회..
너나위 님 영상이 알고리즘에 의해 가끔 뜨는데, 정말 구구절절 맞는 이야기들이 많다. 단순히 돈(자산 증식)에 관련된 이야기가 아니더라도 적용되는 논리들이 많아서 좋아하는데, 최근의 코멘트가 또 와 닿았다. Attitude에 대한 이야기이다.본부장님이 어떤 업무를 지시했을 때'야, 이게 씨 말이 되냐, 우리보고 다음 주까지 하라는 게 이게 맞냐고', '완전 잘 못 돼도 한참 잘 못 된 거 아냐?'라고 특정 사안에 대한 시시비비를 가리는 데 굉장히 많은 에너지와 시간을 쓴다.반면 어떤 사람은'어쩔 수 없고, 다음 주 까지 이게 필요하니 어떻게 할 지를 생각해 보자' 라고 바로 실행에 옮기는 사람이 있다.전자의 사람을 '판사형 인간'이라고 부르는데, 판사형 인간은 돈을 벌기가 어렵다고 한다. 하지만, 비단 ..
얼마 전, 두어 번 포스팅 했었지만 일본 종합상사에 대한 스터디를 수행한 적이 있다. 그때, 어떤 발표의 서두에 내가 '일본 종합상사의 업태는 더 이상 무역회사가 아니다. 사모펀드에 가까운데, 자기 자본과 차입금(이게 LP와는 다른)을 활용한 종합 투자회사로 변모했다.' 라고 설명한 적이 있었다. 워렌 버핏이 투자를 했던 이유가 있을 것이다.(그가 가장 잘 이해하는 종합 투자회사이기에)무역으로 시작한 일본 종합상사는 세계 각국 기업들의 Globalization 화에 따라 자원 시장으로 진출하게 된다. 이때부터가 금융 투자의 시작이었을 것이다. 무역으로 다져진 글로벌 역량과 리스크 헷지 능력이 해외 자원 시장으로 사업 범위가 확장되며 자연스레 PF 등 사업개발과 파이낸스의 영역으로 들어서게 된 것이다.이제..
1. Make the Work Reasonable 업무를 합리적으로 만들어라 - 직원들이 감당할 수 있는 업무 부여, - 직원들이 하고 싶어하는 일 인지에 대한 고민 2. Give People Growth Opportunities 사람들에게 성장 기회 제공 - 모든 직원들은 성장과 승진을 원함 - 최대한 성장의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노력 3. Appreciate People 사람에게 감사하고 칭찬하라 - 칭찬을 아끼지 않고 격려하는 모습을 보이는 노력 필요 - 인정 받을 때 생산성 9% 증가, 안전사고나 결근 22% 감소 4. Interact Constructively 건설적인 상호작용을 하라 - 직원들에게 무례하게 대하지 말라 5. Consider the Overall Culture 전반적인 문화를 ..
Arnold Schwarzenegger is Jim Carrey in "Liar Liar" | Elevator Scene | (Deepfake) https://www.youtube.com/watch?v=qOtbnL7_3uE Deep Fake 로도 불리울 수 있는 Face swapping 기술과 voice conversion 기술. 이런 굉장히 흥미로운 분야에서 비즈니스를 해보고 싶었다. 적용할 수 있는 분야는 굉장히 많을텐데. 실제 전 직장에서는 굉장히 흥미로운 기술들을 많이 연구 개발했었는데, 그 기술을 사업화 시키는 역량이 다소 아쉬웠다. 뭔가, 개발에만 역량을 치중하는 느낌이 컸었는데, 실제로는 연구소에서 개발한 기술을 기반으로 기술 기획과 사업 기획이 중요했다고 본다. 기술 기획이 왜 중요하냐면,..
특정 사업에 대해서 그 사업을 왜 하는 것 인가에 대한 본질적인 질문은 반드시 필요하다. 그래야 정확한 업의 본질과 고객에 대해 정의를 내릴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 않고, 그냥 돈이나 벌자라는 심산으로 접근하게 될 때, 보통 기획의 부재가 나타나게 된다. 기획이라는 것이 별 것이 아니다. 다음 세 가지에 대해 명확하게 답할 수 있으면 되는 것이다. 1. 고객은 누구이며, 어떤 특성을 지니고 있는가? 2. 이 사업은 어떤 방식으로 어떤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가? 3. 무엇으로 돈을 벌 수 있는가? 다 모르겠고, 나는 돈을 벌고 싶다, 지속적인 cash flow 를 창출하고 싶다라는 마음으로 접근한다면 그 사업을 성공 시키고 싶은 마음이나 가능성 따위는 거의 없다는 말과 같다.
무릇 사장을 한다면, 인성과 그릇을 겸비해야 한다. 사장도 리더십의 한 부류이고, 한 조직의 정점에 올라서 있는 만큼 그의 배포와 그릇은 정말 중요하다. 간혹, 투자자나 고객의 냉혹한 피드백을 듣고 흥분하는 사장의 모습이나, 그릇이 소주 잔 보다 작아 보이는 행동을 하는 등 사장으로서 부족한 모습을 종종 보아왔다. 사장은 책임져야 할 것들이 많기에 숙고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사장의 그릇은 딱 그 만큼 되는 사람들만 품을 수 있다는 것을 알만한 사람들은 다 알고 있다.
가끔 주니어 임원들 중에, 아직 팀장이나 이사 티를 벗지 못하는 이들이 있다. 사람이 없어서/부족해서, 실무를 붙잡고 있고 업무 피드백을 하나 하나 다 주어야 하는 상황이라는 것은 물론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임원의 1차 적인 역할과 책임은 그보다 상위 레벨에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 1. 멤버들이 업무를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준다. 업무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각자가 해당 업무들에 집중할 수 있게 한다. 가장 중요하면서도, 쉽지 않은 일이다. 신경 쓰고 처리해 줘야 할 것들이 가장 많은 분야이기도 하다. 2. 당면한 문제를 해결 한다. 이 때 대부분의 문제란 대인 관계를 포함한다. 상사가 되었든, 고객이든 협력사든 필요한 누군가를 만나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그게 의사 결정이든, ..
1. 페이스북이 매년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욕구 조사에 가장 많이 등장하는 요소가 커리어(Career), 동료애(Community), 그리고 의미(Cause)라고 한다. 이는 연령과 나라, 직업군(엔지니어, 비즈니스 등)에 차이가 없다고 한다. 즉, 기성 세대나 MZ 세대가 차이가 없다는 의미다. 2. 커리어는 일에 관한 것인데, 생존 욕구 다음으로 중요해진 욕구라고 한다. 누구나 자율적으로 일하면서, 자신의 강점을 활용하고 성장할 수 있기를 원한다. 이것이 지켜지지 않으면, 인재들이 떠나게 되어 있다. 3. 동료애는 사람에 관한 것이다. 누구나 일터에서 존중 받고, 하나의 인격체로 대접받기를 원하며, 다른 이들에게 인정받는 것을 원한다. 연결과 소속감은 또 다른 인간의 기본 욕구다. 일터에서 존중 ..
1. 흔들리는 스타트업에는 다 그 만한 이유가 있다. 창업자들은 몰라도 구성원들은 다 알고 있는 그러한 이유 말이다. 이러한 특징은 기업 리뷰에서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흔히 잡플라넷이나 블라인드 등 사이트에서 말이다. 포춘코리아에서 이러한 논제를 다룬 기사를 공유하며 생각을 첨언해 본다. 2. 대표적인 예가 사람들의 줄 퇴사이다. 지속적으로 인력이 줄어 나간다는 것은 한 가지를 의미한다. 이유 여하를 막론하고, 사람들은 퇴사하는데 충원이 되고 있지 않다는 것. 이렇게 구멍 난 빈 자리는 주니어들로 채워질 수는 있지만, 오래 가지는 못 한다. 신입은 명확한 업무 지시와 멘토링 없이 제 역할을 하기가 힘들기 때문이다. 3. 조직 내 인력 이탈이 심해지면, 대표나 경영진이 직원들에 대한 믿음이 점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