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경영컨설팅
- consultant
- 커리어
- 전략프로젝트
- 컨설팅
- strategy consulting
- caseinterview
- 케이스 스터디
- consulting
- 컨설턴트교육
- 케이스인터뷰
- ey
- 러시아
- 컨설턴트
- 빅4
- 전략컨설팅
- 전략 컨설팅
- Strategy
- 컨설팅펌
- 컨설팅 인터뷰
- 전략컨설턴트
- 인공지능
- 리더십
- 전략강의
- 케이스 인터뷰
- 전략펌
- 게스티메이션
- case interview
- Russia
- 컨설팅강의
Archives
- Today
- Total
Consultants Blogger
전략 컨설팅의 커리어 패스 본문
아래는 전 매킨지 컨설턴트가 정리한 경영 컨설팅 업계의 일반적인 커리퍼 패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연차별 각 컨설팅 펌의 직급과 주요 직급의 R&R 이 잘 정리되어 있어 참조해 보았고, 원문은 여기를 참조하시면 됩니다.
물론, 일정 부문 outdated 되었거나, 한국과는 일부 다른 내용도 있으나, 큰 맥락에서는 틀린 말이 없어 정리 차원에서 요약을 하고 제 생각을 덧붙혀 봅니다.
우선 일반적으로 컨설팅 펌의 직급에는 5 가지 레벨이 존재합니다.
- Level 0: Intern – Most consulting interns support other consultants by collecting data or running analyses. Not every consulting firm offer internships.
- 일명 Research Associate 또는 Research Analyst로 통용되는 인턴 포지션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RA 수행 후 입사 오퍼를 받고 있습니다. RA는 보통 리서치와 데이터 분석 업무를 담당하고, Level 1 또는 2 의 업무를 지원합니다.
- Level 1: Junior Consultant / Analyst– Undergrads enter the firm at this level. They handle small workstreams or support senior consultants in larger, more important workstreams.
- Consultant 또는 Associate, Business Analyst 인 주니어 직급입니다. 작은 업무 단위의 task를 맡아서 수행하거나, Level 2 인력의 업무를 지원합니다. 리서치와 데이터 분석 외 슬라이드 내 스토리라인을 직접 작성합니다. 물론, 슬라이드를 직접 생성해야 합니다.
- 프로젝트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 Level 2가 수행하는 한 모듈을 맡아서 진행합니다.
- Level 2: Senior Consultant / Associate – MBA grads enter the firm at this level. They tend to lead large and important workstreams in a project.
- 프로젝트 내에서 Part Leader 역할을 합니다. 한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2~3개의모듈 중 하나 또는 2개를 통째로 맡아서 진행해야 합니다. Level 0 ~ 1 의 작업물에 대해 검토하고 피드백을 줘야 합니다.
- PM의 가이드에 따라, 세부적인 스토리라인을 담당하고, 슬라이드의 퀄리티를
- 우수한 인력의 경우, 이때부터 PM을 담당하기도 합니다.
- Level 3: Project Manager / Project Leader – They manage the day-to-day in a project, similar to CEOs in other firms.
- PM, 소위 전략펌의 팀장이라고 불리우는 이 직급은 전체적인 하나의 프로젝트를 온전히 맡아서 처음부터 끝까지 수행하는 역할을 합니다. 원글에서는 회사의 CEO와 유사하다고 표현되어 있고, 프로젝트에 한해서는 CEO 역할을 해야 합니다.
- Key qeustion을 도출하고 이에 기반하여 work plan을 수립합니다.
- 이에 따라 보고서의 전체적인 스토리라인을 그리고, 산출물의 품질을 책임집니다.
- CEO 역할이기에 Staff membere 들의 체력과 멘탈 관리도 하며, 고객과 전반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합니다.
- 당연히, 프로젝트 중 발생하는 이슈와 SOW(Scope of Work)에 대해 협의하고 조정하기도 합니다.
- PM에 대한 부연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 Engagement Manager (일반적으로 PM, 팀장)는 대부분의 시간을 문제의 구조화, staff member의 작업 진행 관리, 분석 업무의 전체적인 align 과 조화를 담당
- 작업 산출물의 품질을 관리하며, 상급자에게 보고할 의무가 있으며, 클라이언트와 소통하는 일을 담당
- Level 4: Partner / Director – They are in charge of selling consulting projects to clients, and act like owners of individual projects.
- 파트너 또는 디렉터 (상무 급) 직급은 전략펌에서 개별 프로젝트의 오너라고 불리웁니다. 클라이언트를 어카운트 단위로 관리하고, 프로젝트의 품질, 즉 해당 계약 자체에 대한 책임을 지는 포지션입니다.
- 프로젝트를 수주하게 될 경우, 이 직급은 해당 프로젝트에 투입될 PM(팀장 급)을 선정(hire)하고 staffing member 들을 스태핑하여 투입시킵니다.
- 사업개발 또는 영업을 담당하기에, 대부분의 시간을 컨설팅 서비스를 판매하기 위한 네트워킹에 시간을 사용합니다.
- 컨설팅펌에서 revenue를 창출하는 부분을 담당한다는 것의 의미는, 아는 사람들은 알겠지만 실로 중요합니다.
덧 붙이자면,
참고로, 전략컨설팅 펌과 오퍼레이션 중심의 컨설팅 펌 (IT컨설팅 포함)에서의 직급별 역할과 책임은 조금씩 상이합니다. 구축 프로젝트의 경우, 프로젝트 규모가 수십억에 이를 수도 있기에 Senior Manager나 Director 급이 PM, 즉 팀장 역할을 수행하기도 합니다. 이 경우, Manager 직급이 여러 명 투입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전략펌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대로 운영됩니다. 1+3 나 1+4 구조로 한 팀을 이루는 것이 전형적이며, 여기서 1은 PM, 즉 팀장(Manager 레벨)을 의미합니다.
Source:
'Consulting Talk > Thinking of Consul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컨설팅 업계 최근 동향 (0) | 2023.04.10 |
---|---|
Consultancy 에 관하여 (0) | 2023.03.24 |
컨설턴트의 역량에 대한 단상 (2) | 2022.11.29 |
주니어 컨설턴트가 된 그대에게 드리는 Tip: Staffing (0) | 2022.10.05 |
What is Big4 in Russia's new brand name? (0) | 2022.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