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리더십
- 컨설턴트
- ey
- strategy consulting
- 전략컨설턴트
- 케이스 인터뷰
- 컨설팅강의
- Russia
- 커리어
- 전략프로젝트
- 케이스 스터디
- 러시아
- 컨설팅
- 경영컨설팅
- caseinterview
- 빅4
- 전략펌
- case interview
- 케이스인터뷰
- 인공지능
- 컨설팅 인터뷰
- 전략 컨설팅
- 전략컨설팅
- 컨설팅펌
- 전략강의
- consulting
- 컨설턴트교육
- Strategy
- 게스티메이션
- consultant
- Today
- Total
목록Consulting Talk (155)
Consultants Blogger
안녕하세요, 작년에 외국에서 공부를 마치고 들어와 입사준비를 하며 인턴을 하고 있는 취준생입니다.컨설팅 업계 입사를 목표로 하고 있는지라 지인의 소개로 강의를 듣게 되었는데, 정말, 정말! 도움이 너무 많이 되었습니다.다시 한번 감사의 말씀 전하고 싶네요. 간략하게 다음과 같은 점들을 부각시키고 싶습니다. 철저한 강의 준비수강생들을 위한 음료와 간식은 물론, 2권에 나눠서 나오는 컨설팅 관련 자료들, 강의 ppt 등 노력과 정성이 돋보였습니다. 수강생들을 도와주려고 하는 마음이 느껴집니다. 감사합니다. 완벽한 컨설팅 업계의 insight강의를 조금만 더 일찍 들었으면 좋았을걸 생각했습니다. 어렵게, 어렵게 오랜기간에 걸쳐 인터넷 리서치 등을 통해 공부하게 된 정보들을 너무 보기 좋기 정리하여 한번에 가르..
먼저 강의 시작에 앞서 언제나 시원한 음료수와 과자를 준비해 주시는 선생님께 감사 드립니다.내가 강의를 하는 것도 아닌데 왜 이렇게 목이 타는지,,,^^;; 진짜 컨설팅이 하고 싶다 라는 마음을 가지고 강의를 듣게 되었습니다.왜 컨설팅이 하고 싶은지, 어떤 사람이 컨설팅 업무에 적합한지부터 시작해서기본적인 용어, 여러가지 프레임 등을 배우면서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고, 이 강의를 알고 있었는데 왜 진작 시작하지 못했을까 라는 아쉬움이 들었습니다. 3일이라는 시간이 너무 짧아서 아쉬운 마음 뿐입니다.강의가 끝난 후에도 케이스 스터디로 또 여러가지 방면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게이 강의의 가장 큰 장점이 아닐까 싶습니다. 전에 강의를 들었던 수많은 수강생들이컨설팅펌에 입사하고 있다는 소식에저 또한 꿈을 포기..
[전략 컨설팅 Lecture]14-06 10차 Top-tier 전략 컨설턴트 양성과정_'14년 06월 [Open] ㅇ 모집인원 (10 인 이내)- 선착순 접수- 접수 기준 : 수강신청 후 Invitation letter 발송 최종 입금완료한 자에 한해 최종 공지 발송 ※ 수강생 특전 :1. 컨설팅펌 취업시까지 지속적인 현직자 네트워킹 지원 및 커리어 자문 지원2. 강의자료 외에 부가적인 컨설턴트 Training Materials 및 Sample Case Materials 자료 지원3. 케이스 스터디 그룹을 통한 지속적인 스터디 지원- 스터디 멤버 구성- 전현직 컨설턴트들과 함께하는 정기 세미나 개최 ㅇ 주관 및 후원 - (주)인비저너컨설팅본 강의는 교육 및 커리어 컨설팅 전문 법인인 인비저너컨설팅에서 주..
안녕하세요. 4월교육 수강자 입니다.저는 직장인으로써 커리어 체인지를 목표로 교육을 수강 하였습니다.후기는 길게 주저리 쓰기보다, 간단하게 SWOT analysis 형식으로 쓰도록 하겠습니다. Strength- 강사님들의 실무경험: 제프리, 제니 선생님 두분 모두 컨설팅 실무 경험이 풍부하신 분들이십니다. 실무경험을 바탕으로 실제면접시에 도움이 되는 내용들과, 더 나아가 컨설턴트로써 필요한 역량에 대하여 실질적인 내용들을 강의해 주셨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제프리 선생님의 각 컨설팅 펌에 대한 정보들이 굉장히 유익했고, 제니 선생님의 케이스 대비 강의 내용들이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알찬내용의 교재: EvC에서 자체 제작한 엄청난 양의 교재는 기초적인 컨설턴트에 대한 정보부터 실질적인 케이스 분석까지 풍부..
최근, 직간접적으로 다양한 부문에서 sales 활동을 전개해 나가면서 느끼는 점입니다. 제가 쥬니어때만 해도, 논리적 전개, 화려한 장표 등으로 무장해서 가면, 어느 정도 먹혔던 시절이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은 Client 들(특히 owner )도 하도 많이 보고 듣고 하다 보니,논리적 전개나 화려한 장표 만으로는이제 통하지 않는 시대인 것 같습니다. 솔직히, 컨설팅을 좀 해 보신 분들이시라면 아실텐데요, 그 어떤 논리라고 해도fact 나 rationale 기반으로 논리만들어 내는 것은 크게 어려운 일은 아닙니다.왠만한 사태에 대해서는 근거를 기반으로한 논리를 전부 다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뭐, 안 해보신 분들이시라면 동조하지 않으실 수도 있지만, 이와 관련해서는 또 다른 긴 이야기들이 있습니다. 다..
안녕하세요,좀 시간이 된 케이스 같습니다만, 재미있는 Case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제가 보기엔 전형적인 성장전략 프로젝트 유형으로,케이스 인터뷰 시에 가장 많이 등장하게 되는 유형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수업시간에도 늘 말씀드리는 것이지만,가장 먼저 하셔야 하는 것은 framing (혹은 clarification) 입니다.framing 중에서도 scoping 을 먼저 하시는 것이 좋을 듯 하네요. 먼저, key question을 뭐라고 정의해야 할까요?고객사에게 우리가 delivery 해야 하는 것, 또는 고객사가 듣고 싶어하는 말은 무엇일까요? =====================================================================================..
http://cafe.naver.com/ineedamerica/26774 ㅇ 모집인원 (10 인 이내)- 선착순 접수- 접수 기준 : 수강신청 후 Invitation letter 발송 최종 입금완료한 자에 한해 최종 공지 발송 ※ 수강생 특전 :1. 컨설팅펌 취업시까지 지속적인 현직자 네트워킹 지원 및 커리어 자문 지원2. 강의자료 외에 부가적인 컨설턴트 Training Materials 및 Sample Case Materials 자료 지원3. 케이스 스터디 그룹을 통한 지속적인 스터디 지원- 스터디 멤버 구성- 전현직 컨설턴트들과 함께하는 정기 세미나 개최 ㅇ 주관 및 후원- (주)인비저너컨설팅본 강의는 교육 및 커리어 컨설팅 전문 법인인 인비저너컨설팅에서 주관합니다.- 후원: 글로벌 커리어 개발 전문..
아래와 같이 pwc 에서 RA 를 모집합니다. - 아 래 - ㅇ Position : Research Analyst (인턴) 0명ㅇ a Work Period : 5월 중순 ~ 약 7 주 (협의에 따라 연장 가능)ㅇ Project : 해외진출 전략 수립 및 투자유치ㅇ etc : 유관 업무 경험자 우대 (전략 프로젝트) 영어 가능자 필수, 제2외국어 가능자 우대 (Global 프로젝트로 해외 오피스 인력들과 공동 작업)ㅇ Application Period : ~ 5월 9일 오후 6시 (한국 시간 기준)ㅇFile format : PwC_RA_ㅇㅇㅇ(이름).doc To apply, please submit your resume to : jung-woo.chun@kr.pwc.com Applicants not bei..
아래와 같이 글로벌 컨설팅펌에서전략구매 및 원가절감 프로젝트를 위한 프리랜서 컨설턴트를 구합니다. - 아 래 - ㅇ경력 : PL ~ PM 급 약 0명 ( 컨설팅 경력 4년차 이상) ㅇ기간 : 5월 중순 부터 약 3개월 (협의에 따라 연장 가능) ㅇ요구 분야 - 전략컨설팅펌에서 수행하는 수준의 전략구매 프로젝트 전문성 보유자 - 원가절감 및 턴어라운드 전략 수립 전문성 보유자 - 건설 및 건자재 산업에 대한 이해가 있는 자는 Plus ㅇ 처우 : Negotiable ㅇ 지원 및 마감 : jeffery.chun@envisioner.co.kr 로 Resume 또는 CV 제출 ASAP ~ 5월 9일 까지 접수
최근의 프로젝트들의 동향에 대해서 주목해야 할 만한 이슈가 있어서말씀드립니다. 국내에서 대기업이나 중견기업이나 신성장동력에 대한 발굴 추진은 항상 있어왔습니다.이 중에서 두 가지가 큰 트렌드로 구분될 수 있을 듯 한데요,최근 몇년 간 있어왔던 Globalization 은 제가 더 이상 언급하지 않아도 이미 많이들 알고 계신 이슈인 듯 하구요. 또 하나의 트렌드가 기존의 B2C를 영위하던 회사들이 성장의 일환으로B2B 영역으로 확장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있습니다. 성장전략 중 신사업진출의 영역인데요, Globalization 과 마찬가지로, 국내시장 포화 및 성장정체의 이슈에 따른또 다른 성장전략의 일환으로 나온 것인데영역이 신규라는 점에서 globalization 과는 또 다른 관점을 가지는 듯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