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전략 컨설팅
- 전략프로젝트
- 빅4
- Strategy
- 게스티메이션
- 케이스 인터뷰
- 컨설턴트
- 경영컨설팅
- 전략컨설턴트
- Russia
- 전략펌
- strategy consulting
- 커리어
- 인공지능
- 컨설팅 인터뷰
- 케이스 스터디
- case interview
- 컨설팅펌
- 리더십
- consulting
- ey
- 전략강의
- 러시아
- 전략컨설팅
- 케이스인터뷰
- 컨설턴트교육
- 컨설팅
- caseinterview
- consultant
- 컨설팅강의
- Today
- Total
목록Consulting Talk/Thinking of Consulting (73)
Consultants Blogger
금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수 많은 Global brand들의 탈 러시아가 보도된 바 있다. 경력 증명서를 새로 발급받으려고 EY CIS 에 컨택하려고 했는데, 역시나 없는 듯 하다. 궁금하기도 해서, 최근 러시아 빅4의 근황에 대해 알아보니 기가 찬다. 하지만, 이게 현 러시아의 현실이겠지. (함께 했던 동료들이 모두 건승하고 있었으면 하는 마음이다.) 우선, 빅4 모두 Global 빅4의 brand가 아닌 새로운 로컬 brand를 런칭하여 기존의 비즈니스를 유지하는 것으로 보인다. 실상이 어떠한지는 아직 모르겠다. 그 중 역시 가장 빠르게 액션을 취하는 곳이 내가 몸 담았던 EY이다. 러시아/CIS 지역 최대 회계.컨설팅 법인 답게 가장 먼저 구색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1. EY..
작년에 기사화된 것을 바탕으로 컨설팅 펌 연봉 수준에 대해 업데이트를 한 적이 있었고, 올해 다시 업데이트가 있기에 다시 한번 포스팅 해 봅니다. 빅3 전략 컨설팅 펌 연봉 수준 업데이트 (2021) 물론, 제가 현재 컨설팅 업계를 떠나 잠시 테크펌에 몸 담고 있어 정확한 정보는 아닐 수 있으나, 전현직 재직자들의 정보를 바탕으로 한번 공유차 써 봅니다. 물론, 틀린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양해 바라며, 틀린 정보에 대해 아시는 분들은 코멘트로 지적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현재 기준으로 탑 티어 전략펌의 entry level 의 연봉은 약 8.5 ~ 9천 만원 수준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평균적으로 인센은 약 1~2천 정도가 나오고, 사이닝 보너스 대상이라면, 추가로 1 ~ 2 천 정도 보시면 됩니다...
수 많은 기관에서 주요 전문직 펌들의 Ranking 을 매년 발표한다. 그 중에서 전략 컨설팅 펌 순위와 관련해서 가장 공신력 있는 기관에는 어떤 곳들이 있고, 그 곳에서 발표하는 2022년 전략 컨설팅 펌 순위를 한번 살펴보자. 1. FirstHand (구 Vault) 먼저 FirstHand 이다. Vault 가 가장 유명한 전문직 펌 Ranking 발표 기관이었는데, FirstHand에 merge 된 것 같다. 기존에 Vault에 있던 Rankings 카테고리들이 그대로 있는데, 이 중 전략 컨설팅 펌에게 인기 있는 카테고리는 " Most Prestigious Consulting Firms" 카테고리와 "2022 Best Consulting Firms for Strategy Consulting" 카테..
아래 정보에 따르면, 빅3 전략펌의 경우, 억대 연봉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대략 4~5 년이 걸리는 듯 합니다. 빅4 회계법인 컨설팅 펌의 경우 6~7 년차에 억대 연봉에 진입합니다. 파트너인 상무의 경우, 빅3 전략펌은 3억원 이상으로, 빅4 펌 상무(파트너) 급과 그렇게 큰 차이는 없으나, 보너스 포함 시, 아무래도 전략펌 상무급이 더 많이 가져가겠지요. 다만, 차이가 있다면, 빅3 전략펌 파트너 진입에 이르면 10년이면 가능하고, 빅4 컨설팅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14~15 년 정도를 해야 파트너 진입이 가능하다는 차이는 있네요. 그래도, 워라벨은 비교할 나위 없이 빅4가 낫기는 합니다. 3년 새 1500만원 올라 컨설턴트의 몸값이 뛰고 있다. 대기업들이 앞다퉈 컨설팅 업체의 문을 두드리면서 인력 수급..
본글은 김민영 님이 밸러스트아이앤씨 사이트에 기재한 글을 펌하여 왔습니다. (출처 : http://ballast.co.kr/insights/%EA%B4%91%EA%B3%A0-%EC%97%85%EA%B3%84-%EC%BB%A8%EC%84%A4%ED%8C%85-%ED%9A%8C%EC%82%AC-%EB%B0%B0%EA%B2%BD-%EC%9D%98%EB%AF%B8/ ) 얼마 전 광고 업계의 지인이 글로벌 컨설팅 펌들과의경계가 점점 모호해 지고 있다는 말을 한 적이 있다. 원문 글은 이에 대한 배경과 의미를 말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컨설팅업의 업의 특성은, 1) 고객사의 비즈니스 전반을 지원하는 서비스2) 인적자원 중심의 프로젝트 베이스3) 수주업 정도로 나타낼 수 있는데, 이러한 관점에서 광고업은 고객사를 위한..
현재 몸을 담고 있는 회사에 온지 근 1년이 되었다. 그 동안 느껴왔던 것이지만, 이전의 회사들과 확연히 차별화되는 점이 많은데, 그 중 하나가 global network 이다. 흔히, Big 4 라는 펌이 있는데, 이 중에 유일하게 globally integrated 된 곳이 EY 이다. 물론, 이 말은 한국에 있을 때 부터 많이 들어왔던 것이지만, 말로만 듣던것과실제 체험해 본 것에는 굉장히 다른 면이 있었다. 두가지 측면에서.첫번째는 해외 프로젝트의 경우 현지 전문인력의 수행이 필요한 경우,두번째는 글로벌 협업 프로젝트에서의 협업의 정도에 대한 내용. 첫번째는..예컨데, 이전에 있었던 모 회사들의 경우, 해외 프로젝트 진행 시한국에서 다 하려고 했다. (하긴 한국 오피스 내부경쟁도 엄청 치열했던 곳..
최근 몇명의 인턴이 과로사 한 사건 이후, 골드만이 인턴들에게 하루에 17시간 이상 일하지 말라는 지침을 발표했다는 뉴스.주니어 인베스트먼트 뱅커들의 일이 얼마나 고된지 말해주는 기사입니다. IBer 들 또한, 컨설팅과 마찬가지로 엄청난 업무 로드에 지쳐 2~3년 후 헷지펀드나 관련 다른 분야로 이직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제 강의를 수강하신 분들은 들으셨겠지만,일전에 주니어 시절에 하루 하루 일과가 2번의 일과가 있었죠. 하루 8시간의 일과가 끝나면, 또 다른 8시간의 일과가 있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컨설팅이나 금융권 분야에서 커리어를 쌓고 싶으신 분들에게 이 잡들은 적극 권장하는 포지션입니다. 주니어 때 받는 혹독한 트레이닝은 정말 많은 것을 배우게 해주고, 결국 나중에 관련 분야의 일을 할 때나..
실제 컨설팅 펌들에서는 아래에 보시는 것과 같이 인력풀에 대한 관리를 나름대로 하고 있습니다. 첫번째 보시는 그림은 Industry Expertise에 대한 내용입니다.이 분류기준을 토대로 해당되는 프로젝트에 몇 시간이 투입되었는지를 나타내는 그림인데, 에너지 및 자원 중에 전력/발전 부문과 Oil&Gas 부문이 포함되는 '화학 및 석유화확' 부문에 대부분의 시간이 투입된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제조업 - 철강 및 비철금속 제조 영역은 에너지 부문과 관련하여 플랜트 건설 관련된 프로젝트 인 것으로 생각되네요.) 두번째 그림은 Product (Functional Expertise)에 관한 그림인데, 마찬가지로 각 Product 분류 별 투입된 시간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물론, 분류 기준은 훨씬 많습니다만..
10년전까지만해도 bcg매트릭스 등 특정 methodology가 전략펌의 차별화 요소였다면, 현재는 어떤것이 차별화 포인트가 될수있을까요? methodology가 거의 공유되어서 특별한 방법론보다는 특정 산업분야에 강점을 가지고 있는게 차별점이 될수있을까요? 하지만 보통 대형 펌들은 몇개 산업에 치중하기보다는 여러 분야 가리지않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는것같은데,현업 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출처] 전략펌의 차별화요소? (MBA MS GMAT 커리어 컨설팅) |작성자 bang prepschoolpunk2015/06/01 15:52답글신고|삭제|활동 정지1. 산업군은 펌이 아니라 한국의 경우 파트너에 달린 것이 더 크다고 생각해요. 파트너가 어떤 Account를 가지고 있고 CRM을 얼마나 ..
1) BIG3와 BIG4에서 신입으로부터 요구하는 역량은 어떻게 다르고 인터뷰 진행 방식은 어떻게 다른지입니다. - BIG4에서도 마찬가지로 케이스 인터뷰와 Fit의 중요도는 비슷한 것으로 봐도 될까요? > MBB와 Big4 의 경우, 인터뷰 구조가 조금 상이합니다. Big4 내에서도 많이 다를 수 있구요. Deloitte Consulting 의 S&O 쪽 전략부문의 경우 MBB 와 비슷하다고 보시면 되고, Deloitte Consulting (안진 이 아닙니다.) 의 S&O 중 S그룹 외 하나 더 있는데 그 쪽과 PWC 가 비슷 EY와 KPMG (BSC부문)가 비슷 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MBB와 비슷하지 않은 D사의 S&O 와 PWC 의 경우, 컨설턴트 출신이 인터뷰어로 오느냐 전통적 회계사 출신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