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컨설턴트교육
- 경영컨설팅
- 케이스 인터뷰
- Strategy
- strategy consulting
- 케이스인터뷰
- 게스티메이션
- 인공지능
- 전략컨설턴트
- 전략펌
- Russia
- 러시아
- 커리어
- 빅4
- 케이스 스터디
- ey
- consultant
- 전략컨설팅
- 컨설턴트
- case interview
- 컨설팅펌
- 리더십
- 컨설팅강의
- 컨설팅
- 전략강의
- consulting
- caseinterview
- 전략프로젝트
- 컨설팅 인터뷰
- 전략 컨설팅
Archives
- Today
- Total
Consultants Blogger
문제 해결력에 대한 단상 본문
문제해결(Problem solving) 능력은 복잡한 챌린지를 구조화하여 논리적으로 해결해 나가는 것으로 'what should I do?'에 대한 답을 찾는 과정이다. 문제 해결을 비즈니스 관점으로 풀어보면 'what should my strategy be?'에 대한 해답을 찾는 것이며, 더 구체화해 보면, 'How do we combat climate change?' 등으로 풀어나갈 수 있다.
여기서 문제를 challenge 라고 표현하는 것은 문제 해결의 대상을 보다 광범위하게 보는 것으로 본인에게 주어진 그 어떠한 문제 해결이라고 정의된다. 한 회사에서도 직급별로 당면하는 챌리지들은 상이할 수 있고, 이 모든 것들이 모두 문제 해결의 대상인 셈이다.
구조화된 문제 해결 방법론의 가장 유명한 approach가 McKinsey의 7 steps 이다. 이 단계를 한 단계 씩 따르다 보면, 문제를 정의('What are we trying to solve'?)하고, 그 문제는 어떻게 break-down될 수 있는지, 즉 문제를 구성하고 있는 핵심 요소들은 무엇인지, 이 중 어디에 집중을 해야 하는지, 어떤 분석 기법들이 적용되어야 하는지, 분석 결과를 어떻게 설득력 있는 스토리라인으로 종합할 수 있는 지 등에 관한 것으로 굉장히 유용한 방법론이다.
이제 이 방법론을 다시 꺼내어 봐야 할 타이밍인 것 같다.
예전, 딜로이트 재직 시 Consultant (이때 C 전에 Business Analyst라는 포지션이 있었다.)였음에도 RA와 신입들의 OT 교육을 담당하기도 했었다. 이 재능 기부를 다시 할 수 있게끔, 방법론을 다시 한번 이해하고 정리한 뒤, 주니어 스텝들과 생산적인 토론을 할 수 있으면 좋겠다.
'Skills & Tools > Logical Think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지컬 씽킹에 대한 소고1 (0) | 2024.01.16 |
---|---|
전략 컨설팅 주니어들이 귀담아 들으면 좋을 메시지 (0) | 2023.08.07 |
분석 및 기획의 원리: 문제해결 접근법 (0) | 2022.10.11 |
제안서의 유형 (0) | 2022.08.21 |
"청년 버핏이라 불리우는 '박철상' 씨에 대한 네티즌들의 의심" 으로 배우는 logical thinking (10) | 2017.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