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전략컨설팅
- caseinterview
- 전략프로젝트
- 리더십
- 러시아
- 전략펌
- 인공지능
- Russia
- 케이스인터뷰
- 컨설팅펌
- 전략강의
- consulting
- 빅4
- 경영컨설팅
- 커리어
- 전략컨설턴트
- 컨설팅강의
- strategy consulting
- case interview
- consultant
- 컨설팅 인터뷰
- 전략 컨설팅
- Strategy
- 게스티메이션
- 케이스 스터디
- 컨설팅
- 컨설턴트교육
- ey
- 컨설턴트
- 케이스 인터뷰
- Today
- Total
목록specialist (2)
Consultants Blogger
앞 글에서Special generalist 가 어떻게 길러지느냐.많은 컨설팅 펌에서T 자 형 인재를 추구하게 되어있습니다.초기에는 Pooling 제로 운영되며 이 프로젝트 저 프로젝트 투입되게 됩니다.2~3년 간은 아마 여러 가지 유형, 여러 가지 펑션, 여러 가지 인더스트리에서 과업을 수행하며generalist로서의 면모를 갖춰갑니다. 이후 4~5년 이상의 경력 후, industry나 function 으로 특화되어 specialty를 가져갑니다.그렇게 되면 그 사람은 specialty를 가진 진정한 컨설턴트가 됩니다. 초기 몇년 간 여러가지 경험을 하면서 problem solving 역량을 기르며그 중 본인이 판단하기에 가장 적합한 분야를 고른다..이후 특정 분야만 집중적으로 파서, 결국 special..
강의 도중에 나온 질문입니다. "컨설턴트들이 기업에 들어가 자문을 하려면, 현업들 보다 훨씬 많이 알아야 하는 것 아닌가요? 실제 어떻게 컨설팅이 이루어지나요?" 이 질문은 많은 컨설턴트들에게 분명 고민 거리일 것입니다. 과거의 컨설턴트는 generalist 가 일반적이었습니다.전략적 마인드와 논리력 등으로 기업이 당면한 문제 자체에 대한 본질을 규명하고가장 적절한 해법을 도출해 낸다는 것이 컨설팅의 장점이지만,최근과 같은 업무나 산업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요구하는 자문이 많아 지는 추세에 있어서는분명 한계가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금융, 통신, 화학, 플랜트 등.. 많은 산업들이 특정 영역의 전문적 지식을 기반으로 요구됩니다.(물론 산업마다 전문성의 요구 정도는 다르지만..) 소위 컨설팅업계에서의 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