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컨설팅펌
- case interview
- 전략컨설팅
- 컨설팅
- caseinterview
- 커리어
- 컨설팅강의
- 빅4
- 러시아
- 게스티메이션
- consulting
- 전략강의
- strategy consulting
- 컨설턴트
- 케이스 인터뷰
- Russia
- 리더십
- 전략펌
- 전략컨설턴트
- consultant
- Strategy
- ey
- 컨설팅 인터뷰
- 케이스인터뷰
- 전략 컨설팅
- 전략프로젝트
- 케이스 스터디
- 경영컨설팅
- 인공지능
- 컨설턴트교육
- Today
- Total
목록컨설팅 이직 (4)
Consultants Blogger
안녕하세요, 문의 주신 사항에 대해 간략하게 의견드립니다. 1. 말씀하신데로 학부 Spec과 MBA Spec 이 된다는 가정하에, 외국계 IB나 PEF 로의 이직 충분히 가능합니다. Sepc 측면에서만 보면 그렇다는 거고, 중요한 것은 본인의 track record 가 가장 중요합니다. 그러니까, 뭘 해봤냐는 거죠. 2. CFA 나 AICPA 를 따면, 물론 어느 정도 메릿이 있겠으나, 들어간 공수 대비 효과는 글쎄요. MBA 도 준비하면서 이 자격증들을 같이 준비하겠다는 건가요? 우선순위를 파악해서 집중 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듯 합니다. 3. 그냥 일반적인 커리어 패스가 가장 안정적이고 무난 하지 싶습니다. IB 경력을 쌓다가, TOP10 MBA 후 외국계 > PEF 이직 등 또 다시 강조하지만, 요..
안녕하세요, 1.건설사 플랜트 프로젝트 관리 등 경력 이후 MBA, 이후 전략기획실 또는 빅4 입사 사례는 꽤 있는 걸로 알고 있는데,우선 전략기획실 입사 케이스의 경우나 증권사나 투자은행 IB 부서로 이직한 케이스 역시해외에서 MBA 하신 분들이 계십니다.빅4는 PF 분야 등으로 이직한 케이스가 있습니다. 빅4로의 입사는 국내 MBA 이후에도 종종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만, PF나 Finance 쪽에 특화가 되면 좋겠지요, 국내 MBA 졸업생들을 위한 채용이 별도로 있는 것 같진 않구요.. 해외 MBA 채용은 대기업 전략기획실 등 위주로 있는 것 같네요. 2. 플랜트 프로젝트 경험 중 실제 해당 플젝에 인발브 해서 진행했던 (사업개발 부터) 분들 중에 자산운용 (인프라펀드 등)국내대형은행 IB (해외 ..
Career Track에 대해서 고민하다가 조언을 얻고자 질문 올립니다. 지금현재 경영컨설팅쪽에서 일하는 중이고 (1년차) CFA시험 준비중이며 재무전공자입니다.FAS쪽으로 옮길 기회가 닿을것 같아서 FAS쪽으로의 이직을 고민중이구요 현재 경영컨설팅에전혀 만족하지못하고 있기에 이직하는것이 나을것 같다는 판단이 듭니다. 나중에 최종 목표로 PEF나 VC쪽으로 진입을 하고자 하는데 아무래도 경영컨설팅을 해서는답이없다는 판단이 들기도 해서 FAS를 생각중입니다. 질문은 1. FAS쪽에서 PE/VC 로의 진입이 용이한지 궁급합니다2. PEF나 VC가 컨설팅 FAS에 비해 낫다고 볼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추가적으로 FAS의 경우 CPA 유무가 크게 상관은 없는건가요? =========================..
대기업에서 컨설팅으로 커리어를 전환하는 경우는흔히 볼 수 있습니다. 1. 경력 인정 여부통상적으로 컨설팅에서 industry 경력을 5~60% 인정해 주는 것을 고려할 때2년 미만 경력일 경우, 신입으로 조인하게 되는 경우가 많고,그 이상일 경우에는 연차 조정적용 받아 입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2. 직무 관련성 관련이 경우에도 신입이 아닌 경력으로 조인할 경우,본인이 하던 업무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industry 경력 4년 이상의 경우.) 본인의 포지션이 재무관리, 구매 등등 오퍼레이션과 관련된 부분이면,오퍼레이션 관련 펌으로의 입사가 가능성이 조금 더 높고 전략기획, 신사업, 사업개발, M&A, Financing 등등의 경우, 전략펌으로 갈 경우가 더 많은 것 같습니다. 3. 커리어 전환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