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경영컨설팅
- strategy consulting
- 컨설턴트교육
- Strategy
- 전략 컨설팅
- 컨설팅강의
- 러시아
- 전략컨설팅
- 케이스 스터디
- Russia
- 전략컨설턴트
- 컨설팅펌
- 리더십
- 인공지능
- consultant
- 컨설팅
- 커리어
- 전략강의
- 케이스 인터뷰
- 전략프로젝트
- 게스티메이션
- 빅4
- 전략펌
- caseinterview
- 컨설턴트
- ey
- case interview
- consulting
- 케이스인터뷰
- 컨설팅 인터뷰
- Today
- Total
목록사업 (4)
Consultants Blogger
러시아의 비닐하우스 건설 붐은 신규 농업단지들의 중국, 일본 및 기타 국가에 대한 채소 수출을 예고하고 있다. 연중 채소 생산 비닐 하우스는 오늘날 러시아에서 투자 면에서 가장 매력적이며 빠르게 성장하는 농업 분야가 됐다. 전례 없는 국가 지원과 유럽산 식품의 수입 금지 덕분이다.러시아 농업부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 러시아의 비계절 채소 생산량이 18% 증가했다. 농업부는 2020년까지 러시아에 1500ha의 비닐하우스가 건설될 예정이며 이는 동계 국내 채소 수요를 거의 충당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이러한 상황에서 몇 년 내에 신규로 생산 시설을 갖출 대규모 비닐하우스 농업단지들은 생산품의 수출 가능성을 본격적으로 조사하고 있다. 1. 러시아의 농업단지 전망 러시아 최대 농업 기업 중 하나인 '루스..
VC들을 만나보고 얘길 많이 하다 보면, ‘벤처가 아닌 완전 초창기 스타트업들에게 투자를 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하게 보는 것이 무언가 ‘라고 묻곤 한다. 대다수는 아이템이나 사업성을 본다고 대답한다. 그런 당연히 봐야 하는 것 말고, 실제 당락을 결정하는 요소가 뭔지 궁금했다. 그러다 어느 한 인터넷 칼럼에서 인상 깊은 글귀가 보였다.” 카이스트 출신 3명이 사업계획서를 가지고 오면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투자금 계약을 진행했다. “이런 내용이었다. 요점은 스타트업 구성원들의 인적자원을 가장 크게 판단한다는 것이었다(한 번 더 말하지만 아이템이나 사업성은 기본으로 깔고 가는 거다)하지만 그게 스타트업의 성공 확률을 무조건 높여준다고는 볼 수 없다. 성공확률을 높여 줬다면 카이스트 출신 사업자들은 모두 다..
호주 가기 전 나는 무엇을 보았는가:다른 사람의 직업에 대해 흔히, 자리와 상황에 따라 악평을 하기도 하고, 선망하기도 한다. 검사나 변호사라는 직업을 좋게 이야기하는 사람도 있고, 나쁘게 이야기하는 사람도 있다. 의사나 공무원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경영 컨설턴트'에 대해서도, 대기업에서 일하면서, '컨설팅 프로젝트'라는 것을 고객 입장에서 경험해 본 사람들 그리고 경험해 보지 않은 사람들도, 다들 본인들만의 '경영 컨설턴트' 에 대한 고유한 견해를 가지고 있는 것 같다.그 견해는 좋은 것일 수도 있고, 나쁜 이미지일 수도 있다.약 11년을 컨설턴트로 살아온 나에게도, 좋은 프로젝트도 있었고, 좋지 않은 프로젝트도 있었다. 중요한 것은 내가 앞으로 무슨 일을 하던, 오랜 간직하게 될 몇 가지 ..
한 때 나는 우리나라 유통대기업을 위해 호주에서 법인을 만들고, 소를 길러, 고기를 만들어 국내로 들여오는 사업을 총괄한 적이 있었다.아이디어는 단순했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햄버거 체인과, 마트, 수퍼, 백화점 등 유통 사업을 하고 있었고, 더불어 호텔사업을 하는 대기업 입장에서 생각해 볼 수 있는 신사업으로 호주에서 소를 직접 길러, 소고기의 원천 공급 단계를 장악하고, 소고기의 등급별, 부위별 이익을 극대화 해 보자는 것이었다.당시에 햄버거, 마트, 수퍼, 백화점 계열사 별로 소고기 구매담당자들이 별도로 업무를 진행하고 있었는데, 계열사들을 거느린 회장 입장에서는 왜 구매 담당자들이 별도로 존재해야 하는지에 대한 강한 의문을 가지고있었다.내가 보기에 이유란 단순했다. 제국처럼 커져버린 조직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