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인공지능
- 경영컨설팅
- 컨설팅
- Russia
- caseinterview
- 컨설팅강의
- 빅4
- 전략컨설팅
- 전략프로젝트
- Strategy
- 전략강의
- case interview
- 케이스 스터디
- 전략펌
- strategy consulting
- 게스티메이션
- consultant
- 전략 컨설팅
- ey
- 컨설팅 인터뷰
- 리더십
- 케이스 인터뷰
- 컨설팅펌
- 컨설턴트교육
- 컨설턴트
- 전략컨설턴트
- consulting
- 커리어
- 케이스인터뷰
- 러시아
- Today
- Total
목록디지털 (3)
Consultants Blogger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hJJYu/btsAyqvZHQS/76weQdj2Ch97zVJ5PyOxP0/img.jpg)
비용 절감이 다시 화두가 되었다. AI의 출현 등 디지털의 영향으로 세상은 서서히 변해가고 있었던 것인데, 이번 부품사 같은 경우 액션을 취하기 시작한 것이다. 차량의 EV 전환과 이에 따른 소프트웨어 비중 확대 등으로 부품의 수 자체가 단순화되고 자동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콘티의 경우, 자동차 부문은 올해 안에 전체 인력의 20%를 구조조정하겠다고 한다. 큰 조직에서 비 핵심으로 분류되는 사업부문은 피해가기가 힘들 것이다. 이럴 때 일수록 미래 먹거리 사업이나 회사 미래가치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사업부문 등에 적을 두고 있어야 안전하다. 출처: https://www.autoherald.co.kr/news/articleView.html?idxno=51891&fbclid=IwAR3yK6sQ31BXhclXG..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Pubzp/btsAxJ35TPQ/QwF1qhsKAh31iq30hvQk11/img.jpg)
1. 전략컨설팅의 탑티어 사로 꼽히는 맥킨지에 대해 부정적인 기사가 나왔다. 작년 하반기 컨설팅 업계의 불황이 찾아온 이후, 현재는 회사마다 사정은 각기 다른 것 같다. 회사 내부에서도 사업부문 마다 사정이 다르기도 하고. 현재 대다수 컨설팅 펌이 service offering coverage 를 확대해 가고 있는 가운데, 오퍼레이션 중심의 펌들은 전략 기능을 강화하였고, 전략 중심의 펌들은 오퍼레이션 영역을 강화해 왔다. 물론, 이 배경에는 AI 를 필두로 한 Digital transformation 이 한 몫 했다고 본다. 2. 또한, 본디 다수의 전략펌들이 전통적으로 전략구매 같은 RTS(Recovery and Transformation Services)로 불리우는 비용절감 영역에서 성공보수 방식으..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ryquj/btrXrTW8ETg/qAQVEKN6M2tgwykoRhebk0/img.png)
1. 내가 컨설팅 섹터로 복귀한 후로 신기(?)하다고 느꼈던 부문은 여전히 젊은 컨설턴트들은 기술을 경시하는 경향이 강하다는 것이었다. 물론, 여기에 커리어 케어 차원에서 가이드라인을 주는 것을 생각해 보기도 했지만 당장은 크게 필요하지 않다는 결론을 내렸다. 내가 팀장 포지션이 꺾일 때 즈음 테크의 중요성에 대해 심각하게 받아들이기 시작했고, Director 가 되어서는 내 커리어 상 리스크로 생각하기도 했었다. 물론, 나 역시도 주니어 때는 테크 부문이 크게 돈이 되지 않는다는 풍조가 있었다. 그런데 나는 IT 비즈니스를 전공한 만큼 테크 부문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해도를 갖춘 상태였음에도 그랬으니, 당시 풍조가 어땠는지 아는 사람들은 알 것이다. 2. ChatGPT의 보편화로 대변되는 AI의 Com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