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커리어
- 게스티메이션
- 러시아
- 전략컨설턴트
- 빅4
- 인공지능
- strategy consulting
- 전략펌
- 컨설팅 인터뷰
- 케이스인터뷰
- Russia
- 케이스 인터뷰
- 컨설팅강의
- Strategy
- consulting
- case interview
- 경영컨설팅
- 컨설팅
- caseinterview
- 전략강의
- 컨설팅펌
- 전략 컨설팅
- 컨설턴트
- consultant
- 컨설턴트교육
- AI
- 리더십
- 전략컨설팅
- ey
- 전략프로젝트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528)
Consultants Blogger

같은 메세지를 몇 번 포스팅 한 적이 있다.누누이 강조하는 부분이지만, 이 바닥에서 남 탓을 그리 하는 사람의 십중 팔구는 저 성과자이다.모든 저 성과자가 남 탓을 하는 것은 아니지만, 남 탓 하는 사람은 99% 저 성과자라고 봐도 무방하다. 이를 심리학에서 '외부 귀인'이라고 부른다. (歸因: 일어난 일의 원인을 찾는 경향)이 문제가 왜 중요하냐면, 아래 사례를 보면 단번에 이해가 될 것이다.시험을 잘 못 본 학생이 그 이유를 자신의 노력 부족에서 찾았다면 학생은 다음에 시험을 잘 보기 위해 공부를 더 열심히 할 것이다. 시험을 잘 못 본 다른 학생이 만약 자신이 시험을 못 본 이유를 문제를 이상하게 낸 선생님 탓으로 돌렸다면 이 학생이 다음에 시험을 잘 보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은 선생님이 문제를 ‘..

최근 AI 툴들이 전문화 다양화되면서 일하는 방식 자체가 많이 바뀌고 있는데, 내가 생각하는 일 하는 방식의 변화를 내가 하고 있는 방식대로 한번 정리를 해봤다. (물론 이렇게 풀로 해 본 적은 아직 없지만, 점점 이런 방식으로 다가가고 있는 중이고, 특히 외부 세미나나 강연 등 자료에 주로 활용 중)아직도 구글링을 하고 있는 친구들이 있어, 공유.(구글도 이제 구글 검색을 버리고 'AI 모드'라는 서비스로 Self-Cannibalization 중임)1. 가설 수립Chat GPT로 우선 내용을 전반적으로 검토해 본다. 그리고 나서, 가설을 수립한다. 이때 ChatGPT가 주는 내용을 큰 틀에서 주제와 맥락을 잡아보는 데 쓴다.2. 자료 조사Perplexity와 Gemini로 리서치를 한다. 늘 이야기 하..

리서치 및 분석을 하다보면, 수 많은 보고서와 영상 등 자료가 너무 방대해진다. 이럴 때, 정말 훌륭한 AI 친구, 일전에도 간략하게 한번 소개한 #Lilys_AI.물론, Chat GPT나 다른 AI 친구들도 자료나 영상 요약을 해준다.하지만, Lilys 는 요약에 전문성을 가지고 있는 AI 라고 보면 된다. 요약의 차원이 다르다고 봐야한다.예를 들어, 아래 화면을 보고 설명해 본다면, 유튜브 영상 링크를 요약해 달라고 했을 때의 화면이다.1.왼쪽 상단의 '타임라인 요약' 화면이고, 영상의 각 타임라인 별로 화면 이미지와 내용을 일목 요연하게 요약해 준다.2.오른쪽 화면은 영상의 스샷과 스크립트가 그대로 보여지게 되며, 왼쪽 본문의 출처([37]과 같은 Reference)를 누르면, 어느 시점에 있는 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