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컨설턴트교육
- 전략컨설턴트
- 리더십
- consultant
- 경영컨설팅
- 인공지능
- 컨설턴트
- 케이스인터뷰
- 전략컨설팅
- 커리어
- strategy consulting
- 게스티메이션
- consulting
- 전략 컨설팅
- caseinterview
- 컨설팅펌
- ey
- 러시아
- Strategy
- 컨설팅 인터뷰
- 전략프로젝트
- AI
- 빅4
- 전략펌
- 컨설팅
- 전략강의
- case interview
- 케이스 인터뷰
- Russia
- 컨설팅강의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527)
Consultants Blogger
안녕하세요, 1.건설사 플랜트 프로젝트 관리 등 경력 이후 MBA, 이후 전략기획실 또는 빅4 입사 사례는 꽤 있는 걸로 알고 있는데,우선 전략기획실 입사 케이스의 경우나 증권사나 투자은행 IB 부서로 이직한 케이스 역시해외에서 MBA 하신 분들이 계십니다.빅4는 PF 분야 등으로 이직한 케이스가 있습니다. 빅4로의 입사는 국내 MBA 이후에도 종종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만, PF나 Finance 쪽에 특화가 되면 좋겠지요, 국내 MBA 졸업생들을 위한 채용이 별도로 있는 것 같진 않구요.. 해외 MBA 채용은 대기업 전략기획실 등 위주로 있는 것 같네요. 2. 플랜트 프로젝트 경험 중 실제 해당 플젝에 인발브 해서 진행했던 (사업개발 부터) 분들 중에 자산운용 (인프라펀드 등)국내대형은행 IB (해외 ..
안녕하세요, 아래 문의 주신 사항에 대해 간단하게 의견드립니다. 공공부문 컨설팅은 사실 상 그렇게 추천하지는 않으나, 초기 진입 시 진입장벽 측면에서는 현실성이 있다고 보여집니다. 특히 빅4 같은 경우, 일반적인 IT 컨설팅 보다 공공부문 컨설팅의 경우 단점이- 클라이언트 레벨이 그렇게 높지 않고,- Revenue 가 크지 않기에 비용적인 측면에서 압박, - 그러다 보니 부족한 인력으로 인해 근무환경이 열악할 수 있으며- 보고서의 퀄리티/depth 가 떨어질 수 있고- 보고서의 direction 관련해서 객관적 측면 보다는 어떤 정책적 흐름에 편승해서 갈 확률이 높다는 것 상대적인 장점은 - 그나마 function 측면에서는 it가 아닌 경영전략이나 사업성분석, 정책적 결정 등을 다룰 수 있다는 것 입니..
Career Track에 대해서 고민하다가 조언을 얻고자 질문 올립니다. 지금현재 경영컨설팅쪽에서 일하는 중이고 (1년차) CFA시험 준비중이며 재무전공자입니다.FAS쪽으로 옮길 기회가 닿을것 같아서 FAS쪽으로의 이직을 고민중이구요 현재 경영컨설팅에전혀 만족하지못하고 있기에 이직하는것이 나을것 같다는 판단이 듭니다. 나중에 최종 목표로 PEF나 VC쪽으로 진입을 하고자 하는데 아무래도 경영컨설팅을 해서는답이없다는 판단이 들기도 해서 FAS를 생각중입니다. 질문은 1. FAS쪽에서 PE/VC 로의 진입이 용이한지 궁급합니다2. PEF나 VC가 컨설팅 FAS에 비해 낫다고 볼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추가적으로 FAS의 경우 CPA 유무가 크게 상관은 없는건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