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컨설턴트교육
- case interview
- 전략컨설턴트
- 컨설팅펌
- 커리어
- ey
- 케이스인터뷰
- 전략프로젝트
- 게스티메이션
- 케이스 스터디
- 컨설팅강의
- consultant
- 전략컨설팅
- 인공지능
- 컨설턴트
- 케이스 인터뷰
- Strategy
- 리더십
- Russia
- 컨설팅 인터뷰
- 전략강의
- 컨설팅
- 전략 컨설팅
- 빅4
- 경영컨설팅
- consulting
- caseinterview
- 러시아
- 전략펌
- strategy consulting
- Today
- Total
목록T자형 인재 (2)
Consultants Blogger
1. 컨설팅 펌에서 인력을 운용하는 구조는 크게 2 가지 유형이 있을 수 있다. 하나는 인력을 pooling으로 운영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조직 단위로 운영하는 방식이다. 두 운용 방식에는 각기 장단점이 있다. 먼저 조직 단위로 운영한다는 의미는, 개별 Staff 을 하나의 조직에서 전담하여 운영하는 방식이다. 쉽게 말하면 내 조직으로 입사한 사람은 그냥 내 사람이라는 것이다. 이 경우, 장점은 주니어 스탭부터 섹터 전문성을 키워나갈 수 있다는 점인데, 특정 산업군이나 섹터(예를 들어 TMT: Technology Media Telecommunication 등)에 특화된 프로젝트 경험을 경력으로 가져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입사 전 본인이 하고 싶은 섹터와 업무 등을 명확히 할 수 있는 경우 fi..
앞 글에서Special generalist 가 어떻게 길러지느냐.많은 컨설팅 펌에서T 자 형 인재를 추구하게 되어있습니다.초기에는 Pooling 제로 운영되며 이 프로젝트 저 프로젝트 투입되게 됩니다.2~3년 간은 아마 여러 가지 유형, 여러 가지 펑션, 여러 가지 인더스트리에서 과업을 수행하며generalist로서의 면모를 갖춰갑니다. 이후 4~5년 이상의 경력 후, industry나 function 으로 특화되어 specialty를 가져갑니다.그렇게 되면 그 사람은 specialty를 가진 진정한 컨설턴트가 됩니다. 초기 몇년 간 여러가지 경험을 하면서 problem solving 역량을 기르며그 중 본인이 판단하기에 가장 적합한 분야를 고른다..이후 특정 분야만 집중적으로 파서, 결국 spec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