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커리어
- 인공지능
- 컨설턴트
- 케이스인터뷰
- caseinterview
- 전략펌
- 경영컨설팅
- 전략강의
- case interview
- 케이스 인터뷰
- 컨설팅 인터뷰
- consultant
- Russia
- 게스티메이션
- 빅4
- ey
- 전략컨설팅
- 전략컨설턴트
- strategy consulting
- 리더십
- 러시아
- 전략 컨설팅
- consulting
- 컨설팅펌
- 케이스 스터디
- 컨설팅
- Strategy
- 컨설팅강의
- 컨설턴트교육
- 전략프로젝트
- Today
- Total
목록푸틴 (4)
Consultants Blogger
Navalny (나발니)는 법을 전공한 법학도이며, 미국 예일 대학교에서 펠로우 쉽을 마치고, 2000년, 24살의 나이로 러시아 사회자유주의 정당인 러시아 연합 민주당 (Russian united democratic party, 일명 야블라카)에 입당합니다. 하지만 7년 후 당으로부터 퇴출 당하는데, 그 이유가 공공연히 떠들어 대던 그의 극우 민족주의적 발언과 행위들 때문이었습니다. 그리고 2011년 민주주의를 위한 시위 운동 때 그는 가장 먼저 체포 구속된 야당 리더 중 한명으로 다시 나타나게 됩니다. 2013년 그는 모스크바 시장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패배하고 그 이후로 나발니는 공식 선거 출마가 사실 상 금지되었습니다. 이때부터 그는 Social media (SNS)에 집중하기 시작했고, 러시아의..
최근 러시아 반 정부 지도자 알렉세이 나발니가 구속되고, 법원에서 3년 6개월 실형으로 전환 선고가 나자, 러시아 내 여기 저기서 시위가 잇따르고 있고, 심지어 나발니는 올해의 노벨 평화상 후보자로 추천되기 까지 했다. 왜 이렇게 나발니를 못 살게 구는 걸까? 1. 러시아는 푸틴의 국가이다. 3권 분립이 되어 있지 않고(형식상으로는 분리), 푸틴의 힘은 실질적으로 사법부의 판결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오죽했으면, 나발니 사건을 담당했던 법원 재판장은 판결 직전 사임 의사를 밝혔을까. 러시아 안팎에서도 이번 판결은 나발니의 푸틴 궁 폭로에 대한 정치 보복이라는 목소리가 많다. 그 옛날부터 푸틴에게 대항하거나 야당을 후원하는 거대 재벌가들이 '탈세, 횡령, 자금 세탁, 사기' 등의 혐의로 구속 수감되어 ..
나는 한국 사람들 중 친러 성향으로 분류되는 부류일 것이다. 하지만, 이런 나에게도 러시아의 모든 것들이다 맘에 들고 긍정적으로 보이는 것은 아니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바로 푸틴 정권이다. 최근 나발니 사태로 재조명 되고 있는 푸틴의 장기 집권의 배경과 정적 처리 방식에 대해 오마이 뉴스에서 리포트가 나왔다. 특히, 두 번째 단락에서 푸틴 대통령이나 그의 정책에 대해 비판적인 인사들에 대해 어떤 식으로 푸틴 정권이 이들을 처리했는지에 대한 시각은 나의 시각과 많이 유사하다. 현재 러시아의 정치 구조, 즉 여당의 독점 체제(450석 가운데 336석을 여당이 차지)가 장기적으로 유지되고 있는 사실 상 독재 체제를 갖추고 있다. 이 체제 하에서 정경 유착은 심화되고, 모든 권력 즉 정치, 사법, 경제, 그..
최근 러시아 친구들과 얘기를 하다가 느낀 점인데, 왜 절반 이상의 러시아인들이 푸틴을 지지하는 지 약간은 이해가 되었다. 미국에 맞설 강력한 러시아가 필요하다. 정적의 싹을 잘라 경쟁자가 없다. 언론을 억압하고 통제하여 여론을 조성한다.. 등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가장 큰 이유는 바로 러시아 국민들 마음 속에 뿌리 깊게 박혀 있는 '트라우마' 가 아닐까 싶다. “과거에는 상황이 지금보다 더 나빴고, 언제든 다시 그렇게 나빠질 수 있다”는 두려움은 푸틴 세대가 공유하는 정서라고 하는데, 바로 이 점이다. 이를 이해하려면 당시 시대적 배경을 알고 있어야 한다. 푸틴은 99년 8월 16일에는 보리스 옐친 대통령으로부터 러시아의 총리로 임명되었으며, 그 해 12월 31일 옐친이 사임하면서 총리로서 대통령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