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리더십
- 전략컨설턴트
- Strategy
- 게스티메이션
- consulting
- 경영컨설팅
- caseinterview
- 전략펌
- strategy consulting
- Russia
- 전략 컨설팅
- 컨설팅 인터뷰
- 컨설팅펌
- 컨설턴트교육
- 컨설턴트
- ey
- 케이스인터뷰
- consultant
- 러시아
- 커리어
- 컨설팅강의
- 케이스 스터디
- 빅4
- 컨설팅
- 전략프로젝트
- 전략컨설팅
- case interview
- 인공지능
- 케이스 인터뷰
- 전략강의
- Today
- Total
목록문제해결 (8)
Consultants Blogger

컨설팅의 팀장이 되면 종종 겪게 되는 난관이 있다.'과연 이것을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가'종종 문제 해결의 난관에 봉착하게 되면 정신적 스트레스가 쌓이고 이어서 육체적인 스트레스로도 연결되게 마련이다. 아마 컨설턴트라면 최소 몇 번씩은 경험해 봤을 상황이다.나는 이럴 때면, 클라이언트와 커뮤니케이션을 자주 나눴다.시의 적절하게 커뮤니케이션을 하다 보면 퍼즐이 맞춰질 때도 있고, 때로는 필요한 데이터가 어디 있는지 알게 되고, 또는 생각지도 못 한 곳에서 실마리를 찾을 수 있었다.커뮤니케이션은 너무나 중요하다.클라이언트와 커뮤니케이션을 피하면 피할 수록 좋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가능성만 높아진다.무조건 자주 대화를 나누는 것이 좋다.물론 누구와 커뮤니케이션을 할 지 정하는 것이 포인트이지만, 해답은 결국 그..

작년 가을 즈음 우리 조직 내부 대상으로 로지컬 씽킹 강의를 했었고, 유닛 원 대부분 온오프라인으로 수강을 했다. 그런데, 다들 프로젝트에 치여서인지, 수업을 제대로 듣지 못 한 것 같다. 최근 Key Question 을 두고 갑론 을박이 벌어졌던 일이 있는데, 이는 KQ에 대한 이해 부족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였다. "Key Question" 을 한번 보자는 의미는 다음과 같다. 프로젝트 수행에 앞 서 문제의 정의(Situation & Complication)는 무엇이고, 풀어야 할 대상(Question)은 무엇인지에 대한 범위를 의미하며, 그걸 어떤 식으로 풀어나가겠다라고 하는 구조화된 작업 계획(Logic Tree based Questions)을 보여달라는 의미이다. 물론, 프로젝트의 유형과 클라이언..

'내가 지금 하고 있는 일이 벅차고 힘든 이유는 본질적으로 내가 맡은 업무보다 내 역량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물론 적성에 안 맞을 수도 있지만, 이것 조차도 대부분 핑계인 경우가 많습니다. 어차피 회사의 일이라는 것은 마케터든 기획자들 본질은 동일합니다. 회사원에게 갑자기 운동선수를 하라고 하는 것은 당연히 적성의 문제지만, 그게 아니라면 회사의 일이라는 것은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이라는 동일한 프로세스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 가장 중요한 문구가 마지막에 나온다. 1. 내가 지금 하고 있는 일이 벅차고 힘들다면, 본질적으로 내 역량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물론, 해야 할 일에 비해 시간이 턱 없이 부족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작업 계획은 그러한 것들을 모두 고려하여 수립된다. ..

최근 최태원 회장이 신입사원들에게 전달하는 Msg. 특히, 단 기간 내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전략 컨설팅 업계에서 귀담아 들어야 하는 메시지들이 보인다. 주니어 때부터 이런 이야기들을 자주 듣고 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 1. "시킨 일을 잘하는 것을 넘어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하려는 능력이 중요하다"며 "문제를 정의할 능력이 없는 사람은 시키지 않으면 일을 할 방법이 없다" 문제 해결의 시작은 문제의 정의에 있다. 가끔 문제를 정의하기 위해 용어에 대한 정의부터 재정립하고 가는 경우가 있다. (사실, 이 경우는 문제 자체를 정의하는 것 보다 의미가 없는 경우가 다수지만..) 그 만큼 정의란 매우 중요하다는 의미인데, 실제 주어진 문제를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업무 스콥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컨설턴트들은 ..

문제해결(Problem solving) 능력은 복잡한 챌린지를 구조화하여 논리적으로 해결해 나가는 것으로 'what should I do?'에 대한 답을 찾는 과정이다. 문제 해결을 비즈니스 관점으로 풀어보면 'what should my strategy be?'에 대한 해답을 찾는 것이며, 더 구체화해 보면, 'How do we combat climate change?' 등으로 풀어나갈 수 있다. 여기서 문제를 challenge 라고 표현하는 것은 문제 해결의 대상을 보다 광범위하게 보는 것으로 본인에게 주어진 그 어떠한 문제 해결이라고 정의된다. 한 회사에서도 직급별로 당면하는 챌리지들은 상이할 수 있고, 이 모든 것들이 모두 문제 해결의 대상인 셈이다. 구조화된 문제 해결 방법론의 가장 유명한 app..

전략 가이들은 무엇이든 할 수 있다는 근자감이 있는 경향이 짙다. 전략 가이 출신들이 여러 업종에서 최고경영자 레벨로 포진하여 성과를 내면서, 그리고 스타트업을 창업하여 성과를 내면서 이러한 정설이 어느 정도 사실이라고 자리 잡은 지 오래다. 이 문제의 핵심은 크게 3가지 정도로 본다. 기획, 실행 그리고 문제 해결. 비즈니스 모델을 정교하게 만들고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정확하게 기획하는 것. 물론, 여기에는 피봇팅을 얼마나 민첩하게 대응하느냐도 포함될 것이다. 그리고, 거침없는 실행력. 쓸데 없는 데 시간을 낭비하지 않는다. 기획 결과가 나오면 바로 실행해 본다. 최대한 계획대로 진행되는지 점검하면서 치고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문제 해결. Problem solving 은 전략의 ..

문제 해결의 방법은 그 원리는 살펴보면, 전략이나 PI 또는 Implementation이나 크게 다르지 않다. 연휴 기간 동안 e러닝을 보면서 다시 한번 느끼는 중. 무엇이든 문제를 제대로 정의 한 후, 출발하는 것이 논리전 문제해결법의 기초이다. 즉, 분석/기획 단계가 중요하다는 의미이다. AI 분야 컨설팅, 즉 일종의 PI 성 컨설팅에 해당되는 문제해결 접근법에 대한 내용을 보다 보니, 역시 원리는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이다. (나는 가끔 오퍼레이션 프로젝트도 경험해 보았고, AI 회사에 다니면서 구현 프로젝트 경험 또한 갖추고 있어 어렵지 않게 이해되었다.) 먼저 모든 비즈니스 이슈의 발굴 및 정의에는 Top-down과 bottom-up 어프로치 모두가 병행으로 사용된다. 대부분 문제 해결에는 To..
오늘은 컨설턴트들의 역량 중, 문제 해결력(Problem Solving)이라는 부분에 대해 간략하게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물론, 문제 해결력이라는 capability 나 단어 자체를 싫어하는 사람들도 많습니다만,fundamentally, 컨설팅은 하는 사람으로써문제 해결력이라는 것은 거의 모든 업무에 있어 가장 중요한 기본 자세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흔히 logical thinking 으로 많이 알려져 있는 문제 해결력이라는 것은 굉장히 광범위 한 것으로 하나의 포스팅으로 다 다루기는 힘듭니다. 저는 먼저 첫 걸음으로써 컨설턴트들의 문제해결 역량 중 하나인 문제를 정의하는 능력을 말하고 싶네요.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있는데, 커뮤니케이션을 하다보면 전혀 타픽의 핀트를 못 맞춘다거나,,아니면 이야기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