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경영컨설팅
- 전략펌
- 전략프로젝트
- case interview
- 전략강의
- 빅4
- consulting
- Strategy
- consultant
- caseinterview
- 러시아
- 게스티메이션
- 인공지능
- 컨설팅
- strategy consulting
- 케이스인터뷰
- 전략 컨설팅
- 컨설팅 인터뷰
- 전략컨설팅
- 케이스 스터디
- 전략컨설턴트
- 컨설팅강의
- Russia
- 케이스 인터뷰
- 컨설턴트
- 컨설턴트교육
- 컨설팅펌
- 커리어
- 리더십
- ey
- Today
- Total
목록로지컬 씽킹 (4)
Consultants Blogger
로지컬 씽킹을 연습하는 가장 기본이 ‘이슈 트리(Issue Tree)'라는 것이다. 물론, 여기에는 MECE라거나 프레임워크라거나, So what & Why so, 8:2의 법칙 등 다양한 개념이 포함되어 있지만, 오늘은 그냥 이슈 트리가 왜 중요한지에 대해서만 논의해 보자. 이슈 트리에도 그 사용 목적에 다라 이슈/로직 트리, 의사결정 트리, why 트리 등 다양한 트리들이 있지만, 개인적으로 다음 3 가지 이유로 꼭 필요하다고 본다. (특히, 컨설팅에서라면 더더욱) 1. 완성도 있게 짜여진 이슈 트리는 우리가 해결해야 하는 문제, 업무에 대한 전체적인 내용을 한 눈에 볼 수 있다. 큰 그림을 보고 세부 업무를 조율할 수 있는데, 숲과 나무를 모두 콘트롤 하기에 좋은 도구라는 것이다. 2. 이슈 트리를..
지난 글에 이어, 두 번째 글은 Key Question과 스토리라인에 대한 글이다. 컨설팅을 하는 주니어들도 많이 착각하는 것 중 하나가 이 부분이다. 예를 들어, 고객사가 이런 이야기를 한다. "2번 주제(Questions)와 3번 주제(Questions)를 Parallel 하게 해주세요" 이게 뭔 뜻인가? 사실 상 이건 무의미한 말이다. 어차피 스토리라인은 문서로 표현될 것이고 그것 '생각의 흐름' 또는 '이야기의 전개'라는 이름으로 linear 하게 표현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걸 수평적으로 붙이든 수직적으로 붙이든 결과물에는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는 의미다. 두 번째, 이런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봐야 할 것은 잘 알겠는데, 인과 관계가 좀 안 맞는 것 같아요. 주된 원인은B가 아니고..
작년 가을 즈음 우리 조직 내부 대상으로 로지컬 씽킹 강의를 했었고, 유닛 원 대부분 온오프라인으로 수강을 했다. 그런데, 다들 프로젝트에 치여서인지, 수업을 제대로 듣지 못 한 것 같다. 최근 Key Question 을 두고 갑론 을박이 벌어졌던 일이 있는데, 이는 KQ에 대한 이해 부족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였다. "Key Question" 을 한번 보자는 의미는 다음과 같다. 프로젝트 수행에 앞 서 문제의 정의(Situation & Complication)는 무엇이고, 풀어야 할 대상(Question)은 무엇인지에 대한 범위를 의미하며, 그걸 어떤 식으로 풀어나가겠다라고 하는 구조화된 작업 계획(Logic Tree based Questions)을 보여달라는 의미이다. 물론, 프로젝트의 유형과 클라이언..
오늘은 컨설턴트들의 역량 중, 문제 해결력(Problem Solving)이라는 부분에 대해 간략하게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물론, 문제 해결력이라는 capability 나 단어 자체를 싫어하는 사람들도 많습니다만,fundamentally, 컨설팅은 하는 사람으로써문제 해결력이라는 것은 거의 모든 업무에 있어 가장 중요한 기본 자세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흔히 logical thinking 으로 많이 알려져 있는 문제 해결력이라는 것은 굉장히 광범위 한 것으로 하나의 포스팅으로 다 다루기는 힘듭니다. 저는 먼저 첫 걸음으로써 컨설턴트들의 문제해결 역량 중 하나인 문제를 정의하는 능력을 말하고 싶네요.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있는데, 커뮤니케이션을 하다보면 전혀 타픽의 핀트를 못 맞춘다거나,,아니면 이야기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