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consulting
- 전략컨설팅
- 컨설팅 인터뷰
- case interview
- 케이스인터뷰
- 러시아
- 전략프로젝트
- Russia
- 컨설턴트
- 경영컨설팅
- 전략강의
- 컨설팅강의
- 컨설턴트교육
- 빅4
- 컨설팅
- ey
- 전략펌
- 전략컨설턴트
- 전략 컨설팅
- 게스티메이션
- Strategy
- 인공지능
- 케이스 인터뷰
- strategy consulting
- consultant
- 커리어
- caseinterview
- 케이스 스터디
- 컨설팅펌
- 리더십
- Today
- Total
목록성장 (3)
Consultants Blogger

KPI(핵심성과지표)는 개인이나 조직의 성과를 측정하는 지표인데, 어떻게 설정하는 지가 왜 중요하냐면, 결국 그를 통해, 그것을 달성하기 위해 조직이 최적화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컨설팅 조직에서 KPI를 Utility rate(인력 가동률)로 잡는 다면, 싸든 비싸든 Util을 극대화 시키는 데 주력할 것이다. 구성원들 스스로도 Utilization 으로 인식되는 프로젝트만 하려고 할 것이고, 결국 서서히 그 조직의 영업 역량(proposal)은 퇴화할 것이다.또 다른 예로, 파트너의 KPI(보너스 Scheme)가 프로젝트 수익률에 맞추어져 있다면, 물론, 그 의도는 프로젝트를 제 가격(국가별 Global standard rate에 가깝게)에 sales 하라는 것이겠지만, 그건 결국 프로젝트 투입 ..

Growth 를 업으로 삼고 계시는 지인(백종화 대표)에 따르면, 내재적 동기부여에는 3 가지 측면이 있다고 한다. 1. 즐거움 2. 의미 3. 성장 즐거움이란 내가 하고 있는 일 자체가 즐겁다고 생각하는 것이고, 이걸 가늠할 수 있는 질문은 아래와 같다고 한다. 1) 내가 하고 싶었던 일인가? 2) 내가 주도적으로 방법을 정할 수 있는 일인가? 3) 믿고 맡겨주고 있는가? 4) 성과가 나오고 있는가? 5) 리더와 동료들에게 인정과 칭찬을 받고 있는가? 의미란 내가 하고 있는 일이 이해관계자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제대로 된 가치를 전달하고 있는가에 대해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다. 의미가 중요한 이유는 의미를 재정의하면 일하는 방식이 달라지기 때문인데, 의미에 대해서는 다음 질문으로 가늠이 가능..

'내가 지금 하고 있는 일이 벅차고 힘든 이유는 본질적으로 내가 맡은 업무보다 내 역량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물론 적성에 안 맞을 수도 있지만, 이것 조차도 대부분 핑계인 경우가 많습니다. 어차피 회사의 일이라는 것은 마케터든 기획자들 본질은 동일합니다. 회사원에게 갑자기 운동선수를 하라고 하는 것은 당연히 적성의 문제지만, 그게 아니라면 회사의 일이라는 것은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이라는 동일한 프로세스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 가장 중요한 문구가 마지막에 나온다. 1. 내가 지금 하고 있는 일이 벅차고 힘들다면, 본질적으로 내 역량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물론, 해야 할 일에 비해 시간이 턱 없이 부족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작업 계획은 그러한 것들을 모두 고려하여 수립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