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Strategy
- 게스티메이션
- 컨설팅강의
- 컨설턴트
- 경영컨설팅
- 전략펌
- strategy consulting
- ey
- 전략 컨설팅
- 러시아
- Russia
- consulting
- case interview
- 인공지능
- 전략강의
- 커리어
- 컨설턴트교육
- 전략컨설팅
- 리더십
- 컨설팅펌
- 케이스인터뷰
- 케이스 인터뷰
- 컨설팅 인터뷰
- caseinterview
- 케이스 스터디
- 전략컨설턴트
- 전략프로젝트
- 컨설팅
- 빅4
- consultant
- Today
- Total
목록리더십 (16)
Consultants Blogger

1. Make the Work Reasonable 업무를 합리적으로 만들어라 - 직원들이 감당할 수 있는 업무 부여, - 직원들이 하고 싶어하는 일 인지에 대한 고민 2. Give People Growth Opportunities 사람들에게 성장 기회 제공 - 모든 직원들은 성장과 승진을 원함 - 최대한 성장의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노력 3. Appreciate People 사람에게 감사하고 칭찬하라 - 칭찬을 아끼지 않고 격려하는 모습을 보이는 노력 필요 - 인정 받을 때 생산성 9% 증가, 안전사고나 결근 22% 감소 4. Interact Constructively 건설적인 상호작용을 하라 - 직원들에게 무례하게 대하지 말라 5. Consider the Overall Culture 전반적인 문화를 ..

1. 대퇴사 시대(The Great Resignation)가 보편화된 지 오래다. 주니어들의 경우, 높은 연봉과 승진, 동료 등의 이유로 이직을 해왔지만, 요즘은 나(개인)의 행복과 성장이라는 키워드가 점점 더 중요해 지고 있는 것 같다. 즉, 더 나은 기회와 근무 환경 등의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는 것인데, 블라인드 같은 플랫폼에서 특정 회사의 정보가 쉽게 공개되기도 하고, 스타트업 붐이 일면서(그리고 주 52시간 근무제 등으로 인해) 수 많은 대기업들 조차 직원들의 워라밸을 챙기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2. 인사 평가의 개념이 변했다. 과거, 평가는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조직 구성원을 평가하는 방식이었다면, 요즘은 그 조직 구성원의 성장과 성공을 위해 평가를 하고, 케어하고, 멘토링하고..

아래는 KT 신수정 부문장님의 Insight가 담긴 글이고, 이 글을 보고 느끼고 배우는 바를 정리하는 차원에서 끄적여 본다. "당신이 에너지를 별로 쓰지 않는 사람" 이 표현의 의미를 이해한다면, 이 글을 보고 있는 분들은 리더십 층이거나 최소한 manage의 역할을 하는 분들이실 것이다. 1. 신수정님의 표현대로 잘 맞는 사람(이라 쓰고, 업무 성과/퍼포먼스가 좋은 사람이라 읽는다.)이란, 리더(상사)의 에너지를 덜 쓰게 하는 사람이며, pro-active하게 움직이는 사람이다. 에너지를 덜 쓰게 한다는 것은 결과론 적인 것이며, 업무를 함에 있어서는 pro-active 하게, 즉 능동적으로 움직인다는 것이 중요한 것 같다. 능동적으로 움직인다라는 것은, '자신의 일을 깔끔히 처리하고 맡긴 조직을 잘..

가끔 주니어 임원들 중에, 아직 팀장이나 이사 티를 벗지 못하는 이들이 있다. 사람이 없어서/부족해서, 실무를 붙잡고 있고 업무 피드백을 하나 하나 다 주어야 하는 상황이라는 것은 물론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임원의 1차 적인 역할과 책임은 그보다 상위 레벨에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 1. 멤버들이 업무를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준다. 업무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각자가 해당 업무들에 집중할 수 있게 한다. 가장 중요하면서도, 쉽지 않은 일이다. 신경 쓰고 처리해 줘야 할 것들이 가장 많은 분야이기도 하다. 2. 당면한 문제를 해결 한다. 이 때 대부분의 문제란 대인 관계를 포함한다. 상사가 되었든, 고객이든 협력사든 필요한 누군가를 만나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그게 의사 결정이든, ..

'사람들과 관계를 맺을 때는 사람이 논리적인 동물이 아니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우리는 편견으로 가득 차고, 자부심과 허영으로 움직이는 감정적인 동물을 다루는 것이다.' '비판은 위험한 불꽃을 튀게 만든다.' '이 불꽃은 자존심이라는 상대방의 화약을 폭발하게 만들고, 그 폭발은 때로는 서로의 죽음을 앞당기기도 한다.' 상대방을 능력 있는 사람으로 만들고 싶으면, 절대 상대방을 비판 하지 말라. 비판만 하는 리더 곁에는 결코 유능한 인재들이 오래 머물지 못한다.

이 이야기는 살아가면서 아주 중요한 이야기지만, 많은 리더들이 간과하고 있는 것이기도 하다. 인간이 어떤 행동을 하는 욕구는 크게 두 가지다. 첫 번째가 성욕, 식욕, 수면욕 등 기본적 욕구이고, 두 번째가 위대한 사람이 되고 싶어하는 욕구, 즉 타인에게 인정받고 싶어하는 욕구이다. 첫 번째 욕구들을 어느 정도는 누구나 다 누리고 사는 반면, 두 번째, 인정에 대한 욕구는 충족시키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 부분을 잘 공략한다면, 주변 사람을 변화시킬 수도 있고, 자기 사람이 될 수도 있다. 86년도부터 연봉 백만불을 받았던 미국의 유명한 전문 경영인인 찰스 슈와브가 나오는데, 사람들이 그에게 그렇게 많은 돈을 받을 수 있는 비결을 묻자 그가 대답하길, "사람을 대하는 능력 덕분이오. 부하직원들에게 열..